뷰페이지

軍엔터테인먼트 실상 들여다보니...

軍엔터테인먼트 실상 들여다보니...

입력 2013-01-04 00:00
업데이트 2013-01-0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과도한 관심에… 자의반 타의반 연예사병 급증, 가수에겐 ‘위기’ 배우에겐 ‘기회’된 경우 많아

가수 비의 연예사병 특혜 논란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연예인들과 군 복무의 상관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남자 스타들에게 군 입대는 상당히 민감한 문제다. 연예계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한창 활동 중에 입대를 하게 되면 향후 활동이 보장되지 않아 소속사와 스타들은 입대 시기를 놓고 고심을 거듭한다.

하지만 과거처럼 연예인들이 군 복무를 의도적으로 기피할 경우 이미지에 타격을 입어 활동이 더욱 어렵기 때문에 최근에는 군 입대를 피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현빈(왼쪽)이 해병대에 자원 입대해 높은 사회적 관심을 받았고 최근에는 유승호, 이제훈 등 청춘 스타들도 인기 절정기에 군 입대를 택하고 있다.

그러나 가수와 배우의 입장이 다르고 군 생활 적응 정도도 개인에 따라 편차가 크다. 실제로 많은 연예인들은 전방에 지원했다가 주변의 과도한 관심과 시선 때문에 1년을 채우지 못하고 연예사병으로 옮기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 연예계 관계자는 “비의 경우도 국방홍보원 측의 요청도 있고 자의반 타의반으로 연예사병으로 옮긴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요즘은 연예사병의 기강도 세고 위문 공연, 연극, 뮤지컬 뿐 아니라 대내외 각종 행사에 동원돼 힘겨워하는 것도 사실”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요새 군대는 ‘군엔터테인먼트’라는 우스갯소리가 나올 정도로 수많은 연예인들이 군의 대내외 행사에 출연하고 있다. 국방홍보원 측도 행사 수에 비해 연예사병의 숫자에 한계가 있어 연예인이 일반 사병으로 입대하더라도 군악대에 지원을 추천한 뒤 결국 연예사병으로 이들을 홍보에 적극 활용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연예사병으로 제대한 스타들과 친분이 있는 연예기획사 관계자 A씨는 “최근 연예인들의 입대가 줄을 이으면서 몇년새 홍보원의 행사가 상당히 늘어났고 연예인들도 하루 수십건의 행사를 다녀 힘들다고 털어놓기도 한다”면서 “이번 비의 복무 규정 위반은 분명 잘못된 것이지만 가수의 경우 행사 전 댄서들과 호흡을 맞추는 준비 과정과 행사 이후 포상 휴가가 때때로 주어진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아이돌이나 댄스 가수들의 경우 군 입대를 기점으로 활동이 기로에 서는 경우가 많다. 아이돌 스타들은 군 제대를 한 뒤에도 팀이 존속되지 않는 한 거의 활동이 어렵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수많은 아이돌 가수들이 연기 등을 겸업하고 대학원 입학 등으로 군 입대를 최대한 연기하는 이유다. A씨는 “연기자는 생활 배우로 장기적인 활동이 가능하지만 가수들은 군 제대 이후 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도 많다”고 말했다.

반면 최근 배우들은 군 제대와 동시에 안방극장에 서둘러 컴백해 공백기간을 최소화하는 추세다. 실제로 이동욱(오른쪽)이 군 제대와 동시에 촬영에 들어간 SBS 주말 드라마 ‘여인의 향기’로 제2의 전성기를 누렸고 김래원도 군 제대후 ‘천일의 약속’으로 성공적으로 컴백했다. 영화 ‘마이 리틀 히어로’의 개봉을 앞두고 있는 김래원은 “군 제대 복귀작이라는 타이틀이 부담스럽기도 하지만 큰 공백 없이 좋은 작품에 출연할 수 있어 만족스럽다”고 말했다. 현빈, 강동원 등 최근 제대한 톱스타들에게도 영화와 드라마의 시나리오가 쏟아지고 있다.

한 아이돌그룹 소속사 대표는 “요즘은 만 30세까지 현역으로 입대해야 하고 연예인들은 특별 관리 대상이기 때문에 군대를 기피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면서 “군 복무를 성실히 마칠 경우 이미지가 좋아지는 등 프리미엄이 붙기도 하는데 비의 경우는 안타까운 측면도 있다”고 말했다.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