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성현 전 민노당 대표 캠프 결합
민주통합당 문재인 대선후보는 11일 선대위의 정책 중심인 미래캠프 내 ‘일자리 혁명위원회’의 위원장직을 직접 맡았다.진성준 선대위 대변인은 이날 영등포 당사 브리핑에서 일자리혁명위원회 위원장과 28명의 위원 인선 결과를 발표했다.
진 대변인은 “문 후보는 일자리가 가장 중요한 성장전략이자 복지정책이라는 입장에서 일자리혁명을 강조해 왔다”며 “이에 직접 위원장을 맡아 관련 정책을 개발하고 사회적 합의를 모아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가 선대위 국민대통합위원장을 직접 맡아 국민대통합에 방점을 둔 것을 겨냥해 문 후보는 일자리 창출을 핵심과제로 삼고 있음을 부각하려는 의도도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핵심 관계자는 “적임자를 물색하다 일자리의 중요성을 감안해 후보가 직접 맡기로 했다”며 “문 후보가 위원장을 맡기로 꽤 오래 전에 결정됐지만 노사민정 등 4개 파트에서 위원을 위촉하는데 시간이 걸렸다”고 말했다.
문 후보는 기업 출신 위원으로 김진 전 두산베어스 사장, 김영두 동우애니메이션 대표, 김한기 한국오피스컴퓨터 대표, 윤장혁 파일전자 대표 겸 대한상의 중소기업위원회 위원장 등 7명을 선임했다.
이중 김영두 대표는 중소기업중앙회, 김한기 대표는 대한상의의 추천을 받았다.
노동계에서는 문성현 전 민주노동당 대표, 김영경 전 청년유니온 위원장 겸 선대위 공동선대위원장, 김성우 전 한국노총 중앙연구원장 등이 참여했다.
학계 등 전문가 그룹에서는 이진순 전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 김장호 전 직업능력개발원장, 충북발전연구원장을 거친 이수희 한림대 교수 등이 이름을 올렸다.
당내 인사로는 장병완 은수미 의원과 정장선 이계안 전 의원이 합류했다.
진 대변인은 “일자리혁명위원회는 노사 공익을 대표하는 다양한 전문가들이 폭넓게 참여하고, 특히 경영단체들의 공식 추천을 받았다는 점에서 사회적 대화기구의 성격도 갖는다”며 “균형잡히고 현실감있는 일자리 정책을 내놓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문 후보는 선대위에 이명박ㆍ새누리당 정권 부정불법행위 진상조사위원회를 두기로 하고 이종걸 최고위원을 위원장으로 선임했다.
또 관료출신 장차관, 전현직 대학총장 등 경륜 있는 인사들의 자문을 받고 직능 분야 협력을 구하기 위해 후보 직속 자문기구로 국가비전자문회의를 설치키로 했다.
문 후보는 또 문성현 전 대표와 이상현 전 민노당 대변인을 선대위 내 ‘시민캠프’의 공동대표로 추가 인선했다.
문 전 대표는 통합진보당을 탈당했지만 통합진보당 탈당파들이 꾸리고 있는 진보정의당 창당 과정에는 참여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정권교체를 위해 야권 단일후보를 통해 일대일 선거를 치르는 것이 맞고 정당의 지원을 받는 문 후보를 소중하게 생각했다”면서도 “문 후보를 대통령으로 만들고 나서 다시 진보를 재구성하는 곳으로 가고 싶다”며 민주당 입당 뜻은 없음을 밝혔다.
이 전 대변인은 “오늘 합류 이후 노동진보 네트워크를 만들어 조직사업을 활발하게 할 것이며, 후속 결합이 이뤄지는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