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진보당이 이석기, 김재연 의원에 대한 최종 제명(출당) 여부를 결정할 의원총회 개최 시기를 놓고 계파간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신ㆍ당권파가 제명안을 놓고 극명하게 대립하고 있는 상황인 만큼 의총의 개최 시기 역시 ‘힘겨루기’의 대상이 된 것이다.
지난달 29일 중앙당기위원회에서 제명 결정이 확인돼 당규에 따른 절차는 마무리 됐지만, 정당법 33조에 따라 제명이 확정되기 위해서는 의총에서 소속 재적의원 13명의 과반인 7명 이상이 찬성해야 한다.
현재 제명에 반대하는 구당권파 의원은 두 의원을 포함해 6명, 제명에 찬성하는 신당권파 의원은 5명이어서 중립을 표방한 정진후, 김제남 의원이 사실상 결정권을 쥐고 있다.
신당권파가 다수인 혁신비대위는 제명 의총을 9∼14일 지도부 경선 전에 여는 것을 고려하는 분위기지만 아직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우선 혁신비대위는 이날 개원일인데도 원내대표가 공석인 것은 문제가 있다고 판단해 의원단에 오는 5일 의총 소집을 요청해 이날 원내대표 선거가 실시될 전망이다.
이석기, 김재연 의원은 당규상 제명으로 당원 자격이 상실돼 원내대표 선거에는 참여할 수 없다.
반면 구당권파는 당직 선거 이후 제명 의총이 개최돼야 한다고 주장하며 원내대표 선출을 위한 의총에도 반대 의사를 나타냈다.
김미희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당직 선거 이후 의총을 열어야 한다”면서 “상임위 배분 문제 등은 의총을 거치지 않아도 되고, 원내대표 선출도 당직 선거 이후 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는 구당권파가 지원하는 강병기 후보가 당 대표로 선출될 경우 의총 분위기가 제명 부결로 기울 것이라는 판단 때문으로 해석된다.
강 후보는 “차기 지도부에 정치적 해결의 권한과 기회를 줘야 한다”는 입장을 여러 차례 밝혀왔다.
강 후보가 구당권파와 손잡은 만큼, 당권 경쟁에서 승리하면 사실상 제명을 반대할 가능성이 크다.
정진후 김제남 의원은 의총 시기에 대해 신중한 분위기다. 이들은 제명 문제에 대해서도 명확한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정 의원은 “지금까지의 과정을 보면서 약간의 심증은 있으나 마음을 굳힌 바 없다”고 말했고, 김 의원 측 관계자는 “진상조사위 결과가 내용적으로 당내 논란이 되는 상황인데, 당의 존망이 걸린 문제이니 잘 해결돼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신ㆍ당권파가 제명안을 놓고 극명하게 대립하고 있는 상황인 만큼 의총의 개최 시기 역시 ‘힘겨루기’의 대상이 된 것이다.
지난달 29일 중앙당기위원회에서 제명 결정이 확인돼 당규에 따른 절차는 마무리 됐지만, 정당법 33조에 따라 제명이 확정되기 위해서는 의총에서 소속 재적의원 13명의 과반인 7명 이상이 찬성해야 한다.
현재 제명에 반대하는 구당권파 의원은 두 의원을 포함해 6명, 제명에 찬성하는 신당권파 의원은 5명이어서 중립을 표방한 정진후, 김제남 의원이 사실상 결정권을 쥐고 있다.
신당권파가 다수인 혁신비대위는 제명 의총을 9∼14일 지도부 경선 전에 여는 것을 고려하는 분위기지만 아직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우선 혁신비대위는 이날 개원일인데도 원내대표가 공석인 것은 문제가 있다고 판단해 의원단에 오는 5일 의총 소집을 요청해 이날 원내대표 선거가 실시될 전망이다.
이석기, 김재연 의원은 당규상 제명으로 당원 자격이 상실돼 원내대표 선거에는 참여할 수 없다.
반면 구당권파는 당직 선거 이후 제명 의총이 개최돼야 한다고 주장하며 원내대표 선출을 위한 의총에도 반대 의사를 나타냈다.
김미희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당직 선거 이후 의총을 열어야 한다”면서 “상임위 배분 문제 등은 의총을 거치지 않아도 되고, 원내대표 선출도 당직 선거 이후 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는 구당권파가 지원하는 강병기 후보가 당 대표로 선출될 경우 의총 분위기가 제명 부결로 기울 것이라는 판단 때문으로 해석된다.
강 후보는 “차기 지도부에 정치적 해결의 권한과 기회를 줘야 한다”는 입장을 여러 차례 밝혀왔다.
강 후보가 구당권파와 손잡은 만큼, 당권 경쟁에서 승리하면 사실상 제명을 반대할 가능성이 크다.
정진후 김제남 의원은 의총 시기에 대해 신중한 분위기다. 이들은 제명 문제에 대해서도 명확한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정 의원은 “지금까지의 과정을 보면서 약간의 심증은 있으나 마음을 굳힌 바 없다”고 말했고, 김 의원 측 관계자는 “진상조사위 결과가 내용적으로 당내 논란이 되는 상황인데, 당의 존망이 걸린 문제이니 잘 해결돼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