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총 불편한 심기 표출 “창당정신 안 지킨다면 결단”
이석행 전 민주노총 위원장과 전·현직 민주노총 간부 6명이 5일 민주통합당에 입당했다. 한국노총 위원장인 이용득 최고위원이 “한국노총보다 통합도 하지 않은 민주노총에 더 비중을 두고 있는 민주당의 공천방식을 납득하기 어렵다.”며 집단 탈당 가능성까지 내비친 지 하루도 지나지 않아 민주노총의 추가 입당이 이뤄진 것이다. 정광호 한국노총 대변인은 “민주노총의 입당에 일일이 논평할 이유는 없다.”면서도 “공천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창당 정신이 지켜지지 않는다면 판단을 내릴 수 밖에 없다.”고 불편한 심기를 표출했다.
이용득 최고위원
지난달 29일부터 당무를 거부해온 이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도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앞서 그는 전날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일례로 충청권의 한 지역은 한국노총 조합원이 2만 5000명으로 민주노총 6700명보다 4배 정도 많은데, 우리를 배제하고 야권연대로 공천하려고 한다.”고 직접적으로 불만을 표시했었다.
한국노총의 분위기와는 상관 없이 이날 입당식은 화기애애한 가운데 진행됐다. 한명숙 대표는 “민주노총 이 전 위원장과 전·현직 간부, 조합원들이 민주당과 함께하게 됐다.”며 “이 전 위원장은 이 땅의 노동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고뇌에 찬 삶을 살아온 분”이라고 소개했다. 이어 “민주당은 앞으로 비정규직 노동자 문제를 비롯해 이 땅의 노동자와 함께하는 새로운 계기를 만들어 가겠다. 진심으로 환영하고 축하한다.”며 꽃다발을 건넸다.
이에 이 전 위원장은 “환대해준 한 대표와 민주당 식구들께 감사드린다.”며 친근감을 표시했다.
이번에 입당한 민주노총 간부 출신은 박홍기 전 기아차·이상규 전 아시아나·정상채 전 한진중공업·이상범 전 현대차 노조위원장 등이다. 이 전 위원장은 여기에 더해 조합원 1000명의 입당원서와 1만 5000명의 지지선언을 함께 가져왔다. 한국노총 외에 민주당 내 노동계 조직세가 하나 더 만들어진 셈이다.
한국노총의 처지는 더욱 궁색하게 됐다. 민주당 관계자는 “한명숙 대표를 포함한 당 지도부 모두 한국노총과 관련한 이번 사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고 밝혔지만, 한 대표가 설득을 위해 직접 이 최고위원을 만났다는 말은 들려오지 않는다. 한국노총은 이번 총선에서 최소 6석 이상을 요구하고 있지만, 이미 공천심사 대부분이 끝난 상태라 지역구 공천을 통해서는 어려워 보인다.
야권통합에 대한 노총 내 지지도도 떨어지고 있어 일부에서는 조만간 이 최고위원이 결단을 내리는 게 아니냐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이현정·강주리기자 hjlee@seoul.co.kr
2012-03-06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