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한나라 2007년 대선 경선, 어떤 일 있었나

한나라 2007년 대선 경선, 어떤 일 있었나

입력 2012-01-11 00:00
업데이트 2012-01-11 11: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나라당의 지난 2007년 대선후보 경선은 가장 치열한 경선전으로 평가된다.

이명박 후보와 박근혜 후보 측은 “이러다가 당이 둘로 쪼개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을 정도로 사생결단식 공방 및 네거티브 난타전을 벌이는 등 ‘이상 과열’ 현상을 보였다.

당시 이전투구 양상 속에서 치러진 경선은 친이(친이명박)ㆍ친박(친박근혜) 양 계파 간 갈등의 앙금으로 남았고, 이는 4년 반이 지난 지금도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태다.

따라서 ‘한 표’ 확보를 위한 신경전이 치열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동시에 전국 순회 경선이 아닌 한 곳에서의 ‘체육관 경선’으로 치러지면서 조직ㆍ동원 선거가 불가피했다는 게 당 관계자들의 중론이다.

지난 2007년 경선에 참여한 홍준표 전 대표와 원희룡 의원이 “2007년 대선후보 경선은 조직선거였다”, “이명박ㆍ박근혜 후보 양쪽 모두 동원ㆍ비용에서 자유로울 수 있었느냐”고 말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전당대회 돈 봉투 사건에 이어 2007년 대선후보 경선 과정에서도 ‘돈’이 오갔다고 해석될 수 있는 발언이다.

한나라당으로서는 지난 대선 경선에서의 ‘돈 선거’ 의구심이 싹텄다는 점에서 적잖은 타격을 받을 전망이다. 이명박 후보는 현직 대통령, 박근혜 후보는 차기 유력주자라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당시 한 캠프에 참여했던 인사는 11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돈이 오갔는지는 잘모른다”면서도 “하지만 당 대표를 뽑는 전당대회가 그런 상황인데, 대선 후보를 뽑는 경선은 오죽했겠느냐. 당시 양 후보 측에서는 치열한 의원ㆍ당협위원장 쟁탈전을 벌였다”고 말했다.

그러나 홍준표 전 대표와 원희룡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조직ㆍ동원선거가 이뤄질 수밖에 없는 경선 방식을 문제삼은 것”이라며 ‘돈 경선’ 의혹을 제기한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또한 친이ㆍ친박 양 진영 모두 민감한 반응을 보이며 부인했다.

경선 당시 박근혜 후보캠프를 총괄했던 김무성 의원은 “박근혜 후보는 경선에서 조직에 1원도 내놓지 않았다”며 “우리는 돈을 아예 안썼다고 할 수 있을 정도”라고 부인했다.

최경환 의원도 “선거법 테두리를 지키며 깨끗하게 했다”고 강조했다.

일부 친박계 의원들은 예기치 못한 ‘대선 경선 돈선거’ 의혹 제기에 분통을 터뜨렸다. 윤상현 의원은 “지금 경선 얘기를 하는 것은 누워서 침뱉기”라고 말했고, 다른 의원은 “정치 도의가 없다”고 비판했다.

안국포럼 출신으로 이명박 후보캠프에 참여한 권택기 의원은 “정치개혁을 한다는 데 누구도 반대 못할 것”이라며 “하지만 괴담을 사실화하고, 그 실체를 밝히지 못하면 더 큰 혼란만 불러올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당내 전당대회 돈 봉투 사건을 놓고 ‘친이계 고사 작전’, ‘친이계 솎아내기’ 등의 설이 나오는 상황에서 이번 의혹 제기가 계파 갈등의 도화선이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친이계 한 의원은 “박근혜 비대위원장이 전당대회 돈 봉투 사건을 거론하며 ‘당헌당규를 칼같이 지켰으면 이런 일이 없었을 것’이라고 했는데, 그 당헌당규가 2006년에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2007년 경선에서도 당헌당규가 칼같이 지켜졌는지 봐야 하는 것 아니냐”고 꼬집었다.

또한 한 친박계 의원은 “홍준표, 원희룡 의원이 당시 어느 캠프에 가까이 있었느냐를 봐야 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이에 대해 원희룡 의원은 트위터를 통해 “체육관 선거를 퇴출하는 것은 정치구조 쇄신의 기본”이라며 “이를 집단적 반성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어느 계파의 반경이라고 매도하는 것은 계파주의에 물든 구태”라고 반박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