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이 산업 패러다임의 변화에 맞서 두산중공업에 디지털 팩토리 작업을 진행하고 두산인프라코어는 TMS로 원거리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등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고 있다.
두산중공업 창원 본사 1층에 개설된 발전소 원격 관리 서비스 센터.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두산중공업 창원 본사 1층에 개설된 발전소 원격 관리 서비스 센터.
두산중공업은 현재 창원공장에서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해 생산설비에 센서를 부착하여 생산과정을 최적화하는 ‘디지털 팩토리’ 작업이 한창이다.
두산중공업은 2014년 소프트웨어개발팀과 데이터분석팀을 개설하여 창원에 RMSC(발전소 원격 관리 서비스 센터), 서울에 소프트웨어 센터를 열었다. 발전소 운영 관련 정보를 빅데이터화하여 발전소 이용률과 효율을 향상시켜 4차 산업혁명의 기틀을 마련한 것이다. RMSC는 발전소 운전 상황을 실시간 원격 관리하여 고장 및 이상 상황을 사전에 파악하는 시스템을 갖췄다. 소프트웨어 센터는 RMSC를 통해 들어온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축적해 발전소의 설계와 운전 효율 향상, 정비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지난해부터 원자력 공장과 보일러 공장에서는 로봇이 사람을 대신해 용접 기능을 수행 중이며 올 2월 기준 공장자동화를 위한 산업용 로봇을 13종 도입했다. 앞으로 오는 2020년까지 총 35종의 산업용 로봇을 도입할 계획이다.
두산중공업은 두 센터와 기존의 세계적 기술의 기존 발전설비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시킨다는 계획이다.
두산인프라코어가 GPS(위성위치확인시스템), GIS(지리정보시스템), 무선인터넷 등을 활용한 TMS로 고객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TMS는 원격통신과 정보과학이 합쳐진 시스템으로 장비에 장착된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위치추적과 사고감지 등 시스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된 시스템의 상태는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를 통해 전달되고 모바일 기기를 통한 원거리 제어도 가능하다. TMS로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현장을 관리할 수 있게 되면서 이용자의 편의를 높인 것이다. 두산인프라코어는 지난해 기존의 TMS 기능을 강화한 TMS 2.0을 탑재, ‘DoosanCONNECT 서비스’를 선보였다. DoosanCONNECT 서비스는 5t 이상의 두산인프라코어 브랜드 장비에 장착되며, 앞으로 중국을 시작으로 북미와 유럽 시장에 적용할 예정이다.
한편 두산인프라코어는 혁신기술 개발을 위해 2014년 인천에 글로벌 연구개발(R&D) 센터를 열어 전국에 흩어져 있던 건설기계와 엔진 부문 연구인력을 모으고 글로벌 시장을 아우르는 R&D 허브 역할을 하고 있다.
이정희 인턴기자
2017-07-18 4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