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제조업의 경쟁력은 기술이라고 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준비하는 요즘, 기업의 고도화된 생산 시스템은 글로벌 경쟁 구도에서 튼튼한 기반이 된다.
지구 최남단 칠레 푼타아레나스에 있는 신라면집을 찾은 현지 학생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지구 최남단 칠레 푼타아레나스에 있는 신라면집을 찾은 현지 학생들.
농심이 만드는 한국 대표 식품 ‘신라면’의 성공도 이러한 생산 체계의 변화에서 출발했다. 농심은 2001년, 세계 최첨단 라면 생산공장 ‘구미공장’을 가동하며 신라면의 고속 생산과 품질 표준화를 이뤄냈다. 한 해 국내외 7000억원어치가 판매되며 한국 식품의 성공신화를 쓰고 있는 신라면의 이면에는 이러한 생산과 품질의 혁신이 있다.
농심은 시장 1위에 오르면서 국내 시장을 넘어 세계 시장 진출을 구상했다. 그중 첫 번째가 생산의 혁신이었다. 농심은 앞으로의 시대는 생산기술의 첨단화에 있다고 내다봤다. 농심은 구미공장에 처음 ‘스마트 팩토리’라는 개념을 적용했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등을 생산과정 전반에 구현한 미래형 공장이다. 생산에서부터 물류에 이르기까지 컴퓨터를 이용한 무인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한 공장으로 생산효율과 품질관리, 작업효율 등에서 세계 어떤 식품기업과도 비교할 수 없는 새로운 개념의 공장이라는 것이다. 제조에 관련된 모든 데이터가 컴퓨터 시스템으로 관리되며, 생산성 및 품질관련 정보도 네트워크를 이용해 중앙관제실은 물론 각 부문의 현장에서 동시에 실시간으로 컨트롤된다.
구미공장을 대표하는 것은 ‘신라면’ 생산라인이다. 농심 구미공장은 신라면 고속생산 라인을 갖춰 ‘신라면 생산기지’라고도 불린다. 현재 신라면은 구미공장 하나의 고속라인에서 1분에 최대 600개가 생산된다. 분당 600개에 달하는 신라면 생산이력과 이물관리이력은 전부 데이터화돼 컴퓨터에 저장되어 관리된다. 농심은 이러한 빅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정리해, 구미공장과 본사 생산관련 부서와 공유하고 있다.
농심의 투자와 혁신으로 일궈낸 신라면의 세계화는 발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한국의 매운맛을 무기로 전 세계인의 입맛을 공략하고 있는 신라면은 현재 100여개 국가에서 판매되며 식품한류를 선도하고 있다.
2015년 말 기준 신라면의 누적매출은 10조원을 돌파했다. 지난해까지 국내외 누적매출은 약 11조 3000억원에 달하며, 누적판매량은 약 290억개다. 신라면의 누적매출은 상위 5개의 국내 식품기업 연매출(2014년 기준, 11조 6000억원) 합에 육박한다. 신라면의 국내 매출은 연간 4500억원 수준으로, 약 2조원인 국내 라면시장의 4분의1을 차지한다.
김예슬 인턴기자
2017-07-18 4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