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이나 비둘기처럼 날개 퍼덕거리는 육식공룡 있었다고? [달콤한 사이언스]

닭이나 비둘기처럼 날개 퍼덕거리는 육식공룡 있었다고? [달콤한 사이언스]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4-01-28 14:00
업데이트 2024-01-28 14: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내 연구진 중심 소형 육식공룡 포식 행태 연구
서울대, 성균관대, DGIST, 美, 폴란드 과학자 참여

이미지 확대
연구팀이 작은 육식공룡의 먹이 사냥법을 파악하기 위해 만든 로봇공룡 ‘로봅테릭스’  서울대 제공
연구팀이 작은 육식공룡의 먹이 사냥법을 파악하기 위해 만든 로봇공룡 ‘로봅테릭스’

서울대 제공
크고 작은 공룡들이 육·해·공을 지배하고 있었던 중생대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육식공룡 티라노사우루스 렉스다. 티라노사우루스처럼 거대 육식공룡 이외 작은 육식공룡들은 어떻게 먹잇감을 사냥했을까.

국내 과학자들이 중심이 된 국제 공동 연구팀은 몸집이 작은 육식 공룡들의 포식 행위를 실험적으로 밝혀내 주목받고 있다.

서울대 생명과학부, 지구·환경과학부, 성균관대 기계공학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미국 미네소타대 지구·환경과학과, 폴란드 국립과학원 동물학 박물관 공동 연구팀은 몸집이 작은 잡식성·육식성 공룡은 작은 깃털이 달린 원시적 형태의 날개를 펄럭거리며 먹잇감을 숨어있는 곳에 쫓아냈을 것이라고 28일 밝혔다. 국내 대표 공룡연구자 중 한 명인 이융남 서울대 교수도 이번 연구에 참여했다. 이 연구 결과는 기초과학 및 공학 분야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 1월 26일 자에 실렸다.

많은 고생물학 연구를 통해 깃털 공룡의 화석이 발견됐다. 그중 날 수 있는 조류들에게서 발견되는 ‘긴 칼 깃털’(pennaceous feather)을 가진 것은 ‘페나랍토라’라는 작은 공룡들뿐이었다. 문제는 페나랍토라들이 가진 긴 칼 깃털은 날기에는 충분하지 않아 정확히 그 기능이 무엇인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이미지 확대
북방 흉내지빠귀 같은 잡식 조류는 날갯짓으로 먹잇감을 놀라게 해 숨어있는 곳에서 나오게 만들어 쫓아가 포식하는 ‘플러시-추적’ 행동을 한다. 연구팀은 중생대 소형 육식공룡들도 비슷한 방식으로 먹잇감을 잡았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Manjith Kainickara, CC BY-SA 3.0 DEED/사이언티픽 리포츠 제공
북방 흉내지빠귀 같은 잡식 조류는 날갯짓으로 먹잇감을 놀라게 해 숨어있는 곳에서 나오게 만들어 쫓아가 포식하는 ‘플러시-추적’ 행동을 한다. 연구팀은 중생대 소형 육식공룡들도 비슷한 방식으로 먹잇감을 잡았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Manjith Kainickara, CC BY-SA 3.0 DEED/사이언티픽 리포츠 제공
이에 연구팀은 이런 공룡들이 길달리기새(Geococcyx californianus)나 북방 흉내지빠귀(Mimus polyglottos) 같이 현대 잡식 조류에서 관찰되는 ‘플러시-추적’ 방식으로 먹잇감을 찾았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플러시-추적 방식은 포식자가 날개와 꼬리를 이용해 먹잇감을 놀라게 해 숨어있던 먹잇감들이 놀라 도망가도록 유도한 다음, 추격해 잡는 방식이다.

연구팀은 약 1억 2400만 년 전에 살았던 공작 크기의 두 발 달린 페나랍토라 류의 포식자 ‘코우딥테릭스’의 크기, 모양, 예상 이동 범위를 바탕으로 ‘로봅테릭스’라는 로봇을 만들어 메뚜기의 행동 반응을 실험했다. 메뚜기는 플러시-추적 행동에 반응하는 대표적 동물이다.

로봅테릭스가 날개를 펼치고 꼬리를 올린 뒤, 날개를 펄럭이는 등 다양한 플러시-추걱 행동을 모방하도록 했다.

그 결과, 실험에 사용된 메뚜기의 93%가 로봅테릭스의 날갯짓에 놀라 숨어 있던 곳에서 튀어나오는 것이 관찰됐다. 또 로봅테릭스가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와 날개를 펄럭거리는 정도가 메뚜기가 튀어나와 도망가는 확률과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번 연구는 깃털 달린 날개와 꼬리가 어떻게 진화할 수 있었는지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미지 확대
길달리기 새 역시 플러시-추적 행동으로 먹잇감을 사냥한다.  Lip Kee, CC BY-SA 2.0 DEED/사이언티픽 리포츠 제공
길달리기 새 역시 플러시-추적 행동으로 먹잇감을 사냥한다.

Lip Kee, CC BY-SA 2.0 DEED/사이언티픽 리포츠 제공
유용하 기자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