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공습 미사일에 선명한 한글 ‘아’ 자 [포토多이슈]

우크라이나 공습 미사일에 선명한 한글 ‘아’ 자 [포토多이슈]

박지환 기자
박지환 기자
입력 2024-01-07 10:34
업데이트 2024-01-07 11: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포토多이슈] 사진으로 다양한 이슈를 짚어보는 서울신문 멀티미디어부 연재물

이미지 확대
2024년 1월 6일 우크라이나 하루키우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공격 속에 이번 주 초 하루키우 공습에 사용된 것으로 우크라이나 당국이 북한에서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미확인 미사일의 일부가 포착된 모습. 로이터/뱌체슬라프 마디예프스키
2024년 1월 6일 우크라이나 하루키우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공격 속에 이번 주 초 하루키우 공습에 사용된 것으로 우크라이나 당국이 북한에서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미확인 미사일의 일부가 포착된 모습. 로이터/뱌체슬라프 마디예프스키
우크라이나 하루키우에서 북한에서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미사일 잔해가 발견됐다.
이미지 확대
검찰 관계자가 2024년 1월 6일 우크라이나 하루키우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공격 속에 이번 주 초 하루키우 공습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미확인 미사일의 일부를 보여주고 있다. 로이터/뱌체슬라프 마디예프스키
검찰 관계자가 2024년 1월 6일 우크라이나 하루키우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공격 속에 이번 주 초 하루키우 공습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미확인 미사일의 일부를 보여주고 있다. 로이터/뱌체슬라프 마디예프스키
이미지 확대
2024년 1월 6일 우크라이나 하루키우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공격 속에 이번 주 초 하루키우 공습에 사용된 것으로 우크라이나 당국이 북한에서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미확인 미사일의 일부가 포착된 모습. 로이터/뱌체슬라프 마디예프스키
2024년 1월 6일 우크라이나 하루키우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공격 속에 이번 주 초 하루키우 공습에 사용된 것으로 우크라이나 당국이 북한에서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미확인 미사일의 일부가 포착된 모습. 로이터/뱌체슬라프 마디예프스키
로이터는 6일 이번 주 초 하루키우 공습에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북한산 추정 미사일 사진을 공개했다. 공개된 사진 속에 한글 ‘아’자가 선명하게 찍힌 파편 사진이 확인됐다.
이미지 확대
2021년 9월 15일 북한군 철도기동미사일연대 소속 열차 발사대에서 KN-23 탄도미사일이 발사되고 있다. 북한은 이날 철도기동미사일연대 검열사격 훈련을 진행했다고 밝히면서 관련 사진을 공개했다. 조선중앙통신
2021년 9월 15일 북한군 철도기동미사일연대 소속 열차 발사대에서 KN-23 탄도미사일이 발사되고 있다. 북한은 이날 철도기동미사일연대 검열사격 훈련을 진행했다고 밝히면서 관련 사진을 공개했다. 조선중앙통신
지난 5일에는 미 자유아시아방송(RFA)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발사한 미사일이 KN-23(화성-11A)임을 보여주는 사진이 공개하기도 했다.
이미지 확대
2일(현지시간) 러시아 공습 이후 우크라이나 하르키우에서 발견된 미사일 잔해. 외형이 북한제 KN-23과 미사일과 유사하다. 오른쪽은 지난해 8월 김 위원장이 전술미사일 생산공장 등 주요 군수공장들을 현지지도했을 때 포착된 KN-23. KN-23은 2018년 2월 북한군 열병식 때 처음 공개됐으며, 2019년 5월 첫 시험발사가 이뤄진 최신 단거리탄도미사일(SRBM)이다. 러시아제 ‘이스칸데르’를 모방해 만들었지만 외형상 차이가 있다. 2024.1.5 바옌니 아스베다미뗄 텔레그램
2일(현지시간) 러시아 공습 이후 우크라이나 하르키우에서 발견된 미사일 잔해. 외형이 북한제 KN-23과 미사일과 유사하다. 오른쪽은 지난해 8월 김 위원장이 전술미사일 생산공장 등 주요 군수공장들을 현지지도했을 때 포착된 KN-23. KN-23은 2018년 2월 북한군 열병식 때 처음 공개됐으며, 2019년 5월 첫 시험발사가 이뤄진 최신 단거리탄도미사일(SRBM)이다. 러시아제 ‘이스칸데르’를 모방해 만들었지만 외형상 차이가 있다. 2024.1.5 바옌니 아스베다미뗄 텔레그램
KN-23은 북한이 러시아 미사일 ‘이스칸데르’를 모방해서 만든 단거리탄도미사일(SRBM)로 저고도 비행 중 급상승하는 등 변칙 기동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미지 확대
러시아제 이스칸데르 미사일 자료사진. 우크라이나군 홈페이지
러시아제 이스칸데르 미사일 자료사진. 우크라이나군 홈페이지


박지환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