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미래, AX 대한민국’ 주제로 개최 ‘샤잠’ 공동창업자 무케르지 기조연설 기후위기·빈곤 등 인류 문제 해법 토론 정·재계, 학계 등에서 2000여명 참석
이미지 확대
다이너스티홀-키노트세션(토론) 디라지 무르케지 음원 인식 앱 ‘샤잠’(Shazam)의 공동 창업자이자 전문 기술 투자자가 5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제10회 서울미래컨퍼런스 키노트 세션 토론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은 한상기 테크프론티어 대표(모더레이터), 오른쪽은 최양희 한림대학교 총장. 2025.11.5 홍윤기 기자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다이너스티홀-키노트세션(토론)
디라지 무르케지 음원 인식 앱 ‘샤잠’(Shazam)의 공동 창업자이자 전문 기술 투자자가 5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제10회 서울미래컨퍼런스 키노트 세션 토론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은 한상기 테크프론티어 대표(모더레이터), 오른쪽은 최양희 한림대학교 총장. 2025.11.5 홍윤기 기자
이미지 확대
5일 서울 중구 서울신라호텔에서 열린 ‘2025 서울미래컨퍼런스’ 개회식에서 김상열(앞줄 가운데 테이블 왼쪽 세 번째) 서울신문 회장과 오세훈(두 번째) 서울시장을 비롯한 내빈과 연사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앞줄 왼쪽 첫 번째 테이블 왼쪽부터 양종희 KB금융지주 회장,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 디라지 무케르지 샤잠 공동창업자, 유경선 유진그룹 회장, 조억헌 서울신문 부회장, 박상진 한국산업은행 회장, 윤홍근 제너시스BBQ그룹 회장, 조민제 국민일보 회장,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 오 시장, 김 회장, 강기정 광주광역시장,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이찬우 NH농협금융지주 회장, 옌스 오르펠트 RWE 아·태 대표,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 진옥동 신한금융그룹 회장, 김성태 IBK 기업은행장, 김태균 서울신문 콘텐츠본부장. 홍윤기 기자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5일 서울 중구 서울신라호텔에서 열린 ‘2025 서울미래컨퍼런스’ 개회식에서 김상열(앞줄 가운데 테이블 왼쪽 세 번째) 서울신문 회장과 오세훈(두 번째) 서울시장을 비롯한 내빈과 연사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앞줄 왼쪽 첫 번째 테이블 왼쪽부터 양종희 KB금융지주 회장,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 디라지 무케르지 샤잠 공동창업자, 유경선 유진그룹 회장, 조억헌 서울신문 부회장, 박상진 한국산업은행 회장, 윤홍근 제너시스BBQ그룹 회장, 조민제 국민일보 회장,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 오 시장, 김 회장, 강기정 광주광역시장,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이찬우 NH농협금융지주 회장, 옌스 오르펠트 RWE 아·태 대표,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 진옥동 신한금융그룹 회장, 김성태 IBK 기업은행장, 김태균 서울신문 콘텐츠본부장. 홍윤기 기자
“미래에 무엇이 기다리는지 우리는 알지 못합니다. 우리가 아는 것은 우리가 어디로 가려고 하는가입니다. 우리가 모두 이 일에 참여하고 있고, 누구도 답을 갖고 있지 않습니다. 바로 이 지점에서 정부는 환경을 조성하고 신뢰를 만들고, 법을 제정하고 모두를 포용하는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합니다.”
서울신문사가 주최하는 2025 서울미래컨퍼런스(SFC)가 ‘새로운 미래, AX 대한민국’을 주제로 5일 서울 중구 서울신라호텔에서 열렸다.
첫 번째 기조연설로 컨퍼런스의 막을 연 ‘샤잠’(음원 인식 앱)의 공동 창업자이자 전문 기술 투자자인 디라지 무케르지는 ‘인공지능(AI) 시대의 리더십’을 화두로 던졌다. 그는 “우리는 이미 기계와 함께 일하고 있으며, 더 많이 적응할수록 더 많이 포용할 수 있다”며 “기술을 활용하는 데 있어 동등한 혜택을 누리지 못하는 사람들이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AI 시대에 기회를 만드는 것은 우리에게 있다”고 강조했다.
이미지 확대
다이너스티홀-다리지 무르케지 디라지 무르케지 음원 인식 앱 ‘샤잠’(Shazam)의 공동 창업자이자 전문 기술 투자자가 5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제10회 서울미래컨퍼런스 키노트 세션에서 ‘AI 시대의 리더십’이라는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2025.11.5 홍윤기 기자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다이너스티홀-다리지 무르케지
디라지 무르케지 음원 인식 앱 ‘샤잠’(Shazam)의 공동 창업자이자 전문 기술 투자자가 5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제10회 서울미래컨퍼런스 키노트 세션에서 ‘AI 시대의 리더십’이라는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2025.11.5 홍윤기 기자
기조연설을 비롯한 로봇세션, 특별세션, 서울인사이트 등으로 구성된 메인 컨퍼런스에서는 AI를 통한 대전환이라는 변곡점에서 AI가 기후위기, 빈곤, 차별 등 전 세계가 안고 있는 공공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고 모두를 포용할 수 있을 것인가에 관한 다양한 견해와 토론이 이어졌다.
‘AI의 두 얼굴과 국가의 역할’을 주제로 기조연설에 나선 최양희(전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한림대 총장은 AI 리스크 관리를 위한 정부 차원의 전략과 AI를 통해 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민간 주도의 솔루션이 각각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최 총장은 ‘모두를 위한 AI’를 실현하기 위해 접근하기 위한 좋은 분야로 ▲교육 ▲의료 ▲법 등 세 분야를 꼽았다. 특히 교육 분야에서는 AI를 중심으로 재설계한 대학이나 중·고등학교 모델을 만들어 이를 확산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미지 확대
2025 서울미래컨퍼런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2025 서울미래컨퍼런스
이미지 확대
다이너스티홀 최양희 한림대학교 총장이 5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제10회 서울미래컨퍼런스 키노트 세션에서 ‘AI의 두 얼굴과 국가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2025.11.5 오장환 기자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다이너스티홀
최양희 한림대학교 총장이 5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제10회 서울미래컨퍼런스 키노트 세션에서 ‘AI의 두 얼굴과 국가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2025.11.5 오장환 기자
공익을 위한 AI 전환을 위해선 국제연합(UN) 기후변화협약처럼 강력한 국제적 합의가 마련돼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무케르지는 “국가 간 협업을 통해 나쁜 행위자를 막지 못하고 방치한다면 전체 모델이 끝날 수 있다”면서 “한 국가만의 목소리가 아니라 이러한 목소리를 하나로 모을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고 했다. 최 총장은 “구속력이나 집행력이 있으려면 기후협약이나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 의한 기술표준과 같은 강력한 제도가 필요하다”며 “AI에 대한 위협이나 단점을 극복하려면 저개발 국가 등을 지원하기 위한 막대한 재정이 필요한데, 재정을 어떻게 조달하고 분담하며 쓸 것인가에 대해 (국제 사회가) 반드시 같이 논의하고 해법을 내야 한다”고 말했다.
올해 10회째를 맞은 SFC에는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과 임문영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 부위원장, 오세훈 서울시장, 강기정 광주시장을 비롯해 정·재계, 학계 등에서 2000여명이 참석했다.
신융아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글로벌 AI 서비스 업체들이 성적인 대화, 성애물 등 ‘19금(禁)’ 콘텐츠를 본격 허용하면서 미성년자 접근 제한, 자살·혐오 방지 등 AI 윤리·규제 논란이 한층 가열되고 있다. 챗GPT 개발사인 오픈AI도 ‘GPT-4o’의 새 버전 출시 계획을 알리며 성인 이용자에게 허용되는 콘텐츠 범위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19금 대화가 가능해지는 챗GPT에 대한 여러분은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