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술 기초체력 탄탄…가격 낮추고 규제 풀어야 내수 살리고 해외로 진출”

“국내 기술 기초체력 탄탄…가격 낮추고 규제 풀어야 내수 살리고 해외로 진출”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입력 2016-02-11 22:46
수정 2016-02-11 23: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신만희 항우협 무인기 팀장

“모험을 좋아하고 호기심 많은 인간에게 드론은 매력적인 사건임에 틀림없습니다.”

신만희 항우협 무인기 팀장
신만희 항우협 무인기 팀장
신만희(52)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항우협) 무인기 팀장은 “드론이 세상을 바꿔놓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항우협은 대한항공, 한화테크윈, 유콘시스템 등 80여개 회원사로 이뤄진 단체다. 협회는 지난해 12월 말 별도로 무인기팀을 신설했다. 갈수록 드론의 중요성이 높아져서다.

해당 팀을 맡고 있는 신 팀장은 “국내 무인기 산업은 유인 항공기 개발 기술을 바탕으로 관련 기술의 탄탄한 기초 체력을 가지고 있다는 게 특징”이라면서 “드론 비행을 위한 규제가 많아 시장이 크지 못하고 있고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국내 기업들이 머뭇거리고 있는 사이 저가의 중국제품들이 국내 시장을 빠르게 잠식하고 있다.

신 팀장은 국내 드론 산업이 발전하려면 정부가 과감하게 규제를 풀어야 한다고 요구했다. 그는 “안전, 보안, 사생활 침해 등을 이유로 규제프리존 지역 이외에서는 드론 비행을 제한하고 있는데 이는 드론 산업 발전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면서 “침체된 내수시장 확대를 위해서라도 한강 둔치와 같은 수도권 일부 지역에서도 고도 150m 이하에서는 드론을 자유롭게 즐길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최근엔 어떻게 하면 장애물을 잘 피할 수 있을까가 세계 드론 업계의 최대 관심사”라면서 “리얼센스(입체적인 사물과 공간을 지각하는 기술)와 같은 충돌 회피 기능, 초고화질(UHD) TV에 최적화된 고화질 카메라 등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국내 드론개발업체의 살길은 해외 진출에 있다고 강조했다. 신 팀장은 “국내 소형 무인기의 경우 수출 상품이 매우 제한적이고 역량이 다소 부족한 측면이 있다”면서 “국내 정보통신기술력과 우수한 인력이 있는 만큼 차별화된 기술로 접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
2016-02-12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