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말디 캐나다 감식전문가
“산불 현장에는 원인을 알려주는 증거가 반드시 남아 있다. 감식은 숨겨진 표식(表式)을 찾아가는 과정이기에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다.”
스티브 그리말디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BC)주 자연자원부 집행수사국장
세계 최고 산불감식 전문가인 스티브 그리말디(54)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BC)주 자연자원부 집행수사국장은 “산불 감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인내’”라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달 5일 산불감식 전문가들을 이끌고 우리나라 산불전문조사관 및 지자체 산불 담당 공무원 교육을 위해 방한했다.
그리말디 국장은 산불 감식의 필요성에 대해 “원인이 규명되면 효율적인 산불 대책 방향을 설정할 수 있고, 특히 방화는 정확한 원인 규명이 있어야 범인을 검거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산불 감식이 일반 화재나 범죄 수사보다 어렵다.”고 말했다. 현장을 보존하고 사건의 단서를 찾아간다는 점에서는 차이가 없지만 산불은 산간에서 발생하는데다 피해 규모가 넓고 진화과정에서 증거가 훼손될 수 있다. 바람 등 자연변화로 현장 보존이 어렵다는 점에서 발화지점을 파악하는 것이 최우선이다.
그리말디 국장은 “산불 현장 전체를 일일이 감식한다는 것은 불가능하기에 각종 지표를 활용해 과학적으로 매듭을 풀어내야 한다.”면서 “캐나다에서는 14개 산불지표가 있는데 바람과 지형, 연료 등을 근거로 삼아 산불의 원인과 진행방향 등을 파악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특히 “(감식)역량 향상을 위해서는 현장에서 많은 경험을 쌓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현장에서의 증거수집이 마무리되면 산불과의 인과관계를 입증해야 하는 것도 감식 전문가의 역할이다. 담뱃불 또는 쓰레기 소각에 의한 실화인지, 아니면 방화인지를 규명해야 한다. 그는 “산불원인을 놓고 5년간 법정 다툼이 진행됐는데 결국 감식결과가 뒷받침돼 마무리됐다.”면서 “정부와 산 주인이 산림 자원의 가치를 소중히 생각하면서 감식에 대한 중요성 인식 및 기술축적이 가능해졌다.”고 말했다.
캐나다 BC주의 산불감식은 주정부 산하 자연자원부 산림청에서 담당한다. 산불전문조사관은 타입1·2·3으로 나뉘는데 현장조사는 타입1·2 조사관이 맡는다. 산불 조사요구가 있으면 소속 기관에 상관없이 소집되고 자료를 정리해 정부 또는 재판부에 제출한다. 조사관 1명이 연 평균 5~12건을 처리하고 있다. 그리말디 국장은 한국의 감식 수준에 대해 “얼마 안 됐지만 발전 속도가 빠르다.”면서 “책임감이 높은데다 진화에 대해서도 박식해 학습효과가 뛰어나다.”고 평가했다.
음성 박승기기자 skpark@seoul.co.kr
2012-04-05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