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고흥에서 태어난 고인은 순천사범학교와 서라벌예술대학 문예창작과를 나와 시인으로 활동하며 순천대 교수를 역임했다. 1975년 ‘산문에 기대어’로 문학사상 신인상을 받으며 등단했다. ‘꿈꾸는 섬’, ‘아도’, ‘새야 새야 파랑새야’, ‘자다가도 그대 생각하면 웃는다’, ‘별밤지기’ 등의 시집을 펴냈고, 산문집 ‘다시 산문에 기대어’, ‘사랑이 커다랗게 날개를 접고’ 등도 발간했다. 한국 서정시에 내재돼 있던 부정적 허무주의를 남도의 서정으로 극복하고, 역동적 경지의 시 세계를 보여 줬다는 평가를 받았다. 금호문화재단 예술상, 소월시문학상, 정지용문학상, 국민훈장 목련장 등을 수상했다. 유가족으로는 부인과 1남 2녀가 있다. 빈소는 광주 서구 매월동 천지장례식장. (062)527-1000.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6-04-05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