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무분별한 양식장 허가·제주 개발 광풍… ‘바다밭’에 해산물 씨가 말랐어요”

“무분별한 양식장 허가·제주 개발 광풍… ‘바다밭’에 해산물 씨가 말랐어요”

황경근 기자
입력 2021-05-17 17:38
업데이트 2021-05-18 01: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영화 ‘물숨’ 제작한 고희영 감독

“청정 바다 오염되면서 바다밭 황폐화
결국 바다부터 살려야 해녀들 안 떠나”

이미지 확대
영화 ‘물숨’ 제작한 고희영 감독
영화 ‘물숨’ 제작한 고희영 감독
‘제주 바다의 황폐화와 해녀의 감소는 비례한다. 제주 바다부터 먼저 살려야 한다.’

해녀를 소재로 한 영화 ‘물숨’을 제작한 제주 출신 고희영(영화사 숨비 대표) 감독은 17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해녀들은 바다를 바다밭이라고 부른다. 요즘 해녀들이 바다에 나가 숨을 참고 목숨의 위협을 감수하며 물질을 하는데 바다밭에서 캐올 것이 없다고 하소연한다”며 이렇게 말했다.

●일부 해녀들 한 시간 배 타고 나가 물질도

고 감독은 10여년 전부터 고향에서 제주 해녀를 기록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엄마는 해녀’라는 동화책을 펴내는 등 지속 가능한 제주 해녀에 대한 화두를 던지고 있다. 그는 “무분별한 양식장 허가와 제주 개발광풍 등으로 청정 제주바다가 오염되면서 해녀들의 바다밭을 황폐화시켰다”면서 “해산물 수확량이 많고 수입이 보장된다면 누가 바다를 떠나겠는가”라고 반문했다.

이어 고 감독은 “일부 지역 해녀들은 가까운 마을바다의 해산물이 씨가 말라 한 시간 정도 배를 타고 나가 물질을 하기도 한다”면서 “제주 해녀의 지속 가능성은 결국 제주 바다밭을 살리는 것에 달려 있다”고 잘라 말했다.

또 해녀들을 살리기 위해서는 일본뿐 아니라 다양한 판로 개척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고 감독은 “해녀들이 채취한 해산물의 일본 수출길 등이 막히니까 판로도 다양하지 않다. 언제까지 일본에 의존할 것인가. 팔지 못하니 해녀들의 속이 탄다. 소라값 안정 등을 위해 제주도가 적극 나서야 한다. 제도적으로 국내 소비를 위한 판로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 해녀문화콘텐츠에 관심 갖고 투자해야

해녀의 유네스코 등재를 계기로 정부와 지자체의 관심도 촉구했다. 고 감독은 “다큐멘터리스트로서 전 세계를 떠돌아 다녔지만 모성과 강인함, 아름다움, 슬픔, 가치공존 등이 응축된 제주 해녀만 한 매력적인 콘텐츠는 아직까지 발견하지 못했다”면서 “해녀문화콘텐츠에도 관심을 갖고 투자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제주 도민들에게 해녀는 늘 보고 자랐고 늘 곁에 있으니 그 소중함을 모르는 어머니와 같은 존재”라면서 “해녀는 직업으로 물질하는 어업인이지만 문화의 측면에서 바라보면 부가가치가 엄청난 세계적인 존재여서 후대에 반드시 전승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주 황경근 기자 kkhwang@seoul.co.kr
2021-05-18 14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