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세종의 愛民정신 ‘공연 3종세트’로 본다

세종의 愛民정신 ‘공연 3종세트’로 본다

입력 2012-05-04 00:00
업데이트 2012-05-0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립국악원, 탄신 615돌 기념

“에헤요, 에헤요, 까막까막, 에헤요, 에헤요, 꿈벅꿈벅/까만 것은 글씨요, 하얀 것은 종이요/삼각산은 천년 산, 조선 백성은 천년 까막눈/생선장수 처량도 하지. 외상이 있어도 읽을 줄 몰라.” 한바탕 흥겨운 춤판이 벌어진다. 소리꾼 20여명이 신명을 다해 춤추고 노래하는데 가사가 어째 조금 서글프다.

이미지 확대
“우리집에는 미지라는 계집종이 있었지.” 남성 목소리가 낮게 깔리며 아이를 업은 한 여인이 등장한다. “미지 소원은 무엇이지? 이도(세종 본명)가 임금 되면 다 들어준다.” “백성들만 따뜻하게 품어주는 거,…울 엄마한테 편지 써 보는 거.” “내가 써준다. …임금 될 자는 꼭 약속을 지킨다.”

서울 서초구 서초동 국립국악원에서 한글과 민요를 접목한 소리극 ‘까막눈의 왕’ 리허설이 한창이다. 국립국악원은 세종대왕 탄신 615주년을 기념해, ‘까막눈의 왕’을 비롯한 세종 관련 공연을 다양하게 준비했다.

‘까막눈의 왕’이 5~10일,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먼저 관객을 만난다. 세종이 소리의 이치를 우리 민요에서 깨달았다는 상상력으로 이야기를 풀었다. 원래 한글 초성 기본자(ㄱ·ㄴ·ㅁ·ㅅ·ㅇ)는 혀와 입 등 발음기관의 모양에서 따왔다. 그 영감을 준 것이 민요라는 설정으로, 남도 ‘육자배기’, 강원 ‘정선아리랑’, 서도 ‘자진난봉가’, 경기 ‘잦은 뱃노래’ 등 팔도민요를 한자리에 모았다.

세종 머릿속에 글꼴이 떠다니는 장면은 화려하고, 내관 항선이 뺑덕어멈과 심봉사, 춘향의 환영에 시달리는 설정은 유쾌하다. 한글 창제를 반대한 유생들이 상소를 올릴 때는 답답함이 일고, 중국이 “변방국 조선이 새 문자를 만들면 응징하겠다.”며 으름장을 놓으면 울분이 치솟는다. 이런 과정을 거쳐 큰뜻을 이뤄낸 마지막 대목에서는 감동이 극에 이른다.

국립국악원은 지난해 말 ‘언문외전-한글을 만나다’라는 제목으로 첫선을 보인 뒤 각계 전문가 등 평가단 의견을 물어 다듬었다. 제목이 달라진 것에 대해 정호붕 연출가는 “처음 작가의 제안은 ‘까막눈의 나라’였는데 고상하게 보이려고 ‘언문외전’이라 붙였다. 세종이 까막눈이라는 말 안에 담은 백성을 향한 애정을 몰랐던 거다. 이제야 세종의 큰뜻을 깨우쳤다.”고 설명했다. 공연은 오는 24~25일 부산국립국악원에서 이어진다. 1만~3만원.

12~13일에는 서울 경복궁 근정전에서 연례악인 세종조회례연을 연다. 세종은 “살아서 우리 음악을 듣는데, 죽어서(제를 지낼 때) 명나라 음악을 들어야겠느냐.”면서 음악 연구에 들어갔다. 세종 6년(1424)부터 9년 동안 표준음(황종)을 완성하고, 편경(타악기)을 제작해 이를 발표한 자리가 회례연이었다.

대본 작업을 한 남동훈 성신여대 겸임교수는 “세종은 자주적 문화국가를 꿈꾸었다. 특히 세종의 애민정신은 오늘 국민이 정치인들에게 바라는 점이라고 생각한다. 그것을 전달하는 공연이 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연출은 김석만 세종문화회관 이사장이, 무대디자인은 이태섭 용인대 교수가 맡았다. 배우 강신일이 세종을 연기한다.

이어 15일에는 세종 왕릉인 경기 여주 영릉에서 열리는 숭모제전(崇慕祭典)에서 ‘봉래의’를 공연한다. 봉래의는 여민락, 치화평, 취풍형을 연주하며 조선 창건과 평안, 번영을 기원하는 ‘용비어천가’를 노래하고 궁중무용을 덧댄 작품이다. 현장을 방문하면 누구나 관람할 수 있다. (02)580-3300.

최여경기자 kid@seoul.co.kr

2012-05-04 21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