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오면’에는 충남 보령 군헌마을에서 생산한 바지락이 사용됐다.
우리 서해 특산물을 컵라면 등 간편식으로 쉽게 먹을 수 있게 됐다. 한국어촌어항공단은 29일 서울 중구의 한 음식점에서 ‘서해오면’ 출시 행사를 열고 어촌과 음식 기업을 연결하는 ‘CO: 어촌’ 사업의 첫 제품을 선보였다. 어촌어항공단은 어촌·어항 개발과 관광 활성화 등을 목적으로 설립된 해양수산부 산하 공공기관이다.
서해오면은 다섯 가지 맛의 면이란 뜻이다. 이번에 선보인 제품은 충남 보령 군헌마을의 바지락을 베이스로 만들었다. 일반 컵라면의 칼칼한 맛과 달리 바지락 칼국수나 봉골레 파스타 등에 가까운 순한 맛이다.
제품 출시를 담당한 이우석 놀고먹기연구소장은 “동결건조한 각 지역의 특산물이 실제 들어갔다는 것이 가장 큰 자랑”이라며 “바지락의 비린 맛과 쩐내를 잘 잡아주는 마늘, 바질 페이스트 등 고급 재료를 사용했다”고 설명했다. 출시가는 2500원이다. 각종 이커머스에서 살 수 있다. 첫 제품인 바지락 외에 광천 김, 천북 굴 등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제품도 조만간 선보일 계획이다.
‘남해오면’, ‘동해오면’ 등 후속 제품도 조만간 출시할 예정이다. 나승진 어촌해양본부장은 “전남 장흥 매생이 등을 활용한 ‘남해오면’, 강원 삼척 홍게 등을 활용한 ‘동해오면’ 등도 준비중”이라며 “이번 사업을 통해 소멸 위기에 처한 어촌은 새로운 소득원을, 기업은 새 매출원 창출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