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론 엉엉 울어 보세요… 지친 몸과 마음 달래질 테니

때론 엉엉 울어 보세요… 지친 몸과 마음 달래질 테니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4-02-08 23:26
업데이트 2024-02-08 23: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눈물을 참았습니다/이하연 글·그림/책읽는곰/40쪽/1만 5000원

이미지 확대
이하연 작가의 ‘눈물을 참았습니다’ 속 워킹맘 미경씨의 삽화. 전쟁 같은 일상을 치르고 집으로 돌아온 미경씨는 난장판이 된 거실 앞에서 결국 참았던 눈물을 떨군다. 책읽는곰 제공
이하연 작가의 ‘눈물을 참았습니다’ 속 워킹맘 미경씨의 삽화. 전쟁 같은 일상을 치르고 집으로 돌아온 미경씨는 난장판이 된 거실 앞에서 결국 참았던 눈물을 떨군다.
책읽는곰 제공
눈물은 ‘약함’의 상징이라고들 한다. 쉴 새 없이 ‘강함’을 증명해야 하는 세상에서 우리가 절대 울면 안 되는 이유다. 하지만 울음은 기어코 터져 나온다. 그래도 괜찮다. 눈물이 줄줄 흘러야만, 펑펑 울어야만 씻어 낼 수 있는 것이 있으니. 이하연 작가의 그림책 ‘눈물을 참았습니다’는 지금도 어디선가 슬픔을 혼자서 감내하고 있을 누군가를 향한 절실한 위로다.

우리 모두 살아가면서 저마다의 이유로 울음을 참는다. 길을 가다 넘어진 은비도, 영화관에서 혼자 슬픈 영화를 보는 영호씨도, 평생 함께한 아내를 먼저 떠나보낸 덕수 할아버지도 그렇다. 하지만 참는 게 능사는 아니다. 슬플 땐 울어라. 엉엉 울며 쏟아낸 눈물은 어느새 내 옆으로 와 어깨를 내어 주고 내 손을 잡아 주는 존재로 탈바꿈한다.
이미지 확대
그림책 속 워킹맘 미경씨의 이야기는 출간 전 출판사 인스타그램에 먼저 공개되며 많은 이의 공감을 샀다. 새벽같이 일어나 가족들의 아침을 챙기고, 아이를 간신히 깨워 유치원에 보낸 뒤 득달같이 회사로 달려가 일을 처리하지만 미경씨의 일은 좀처럼 줄어들지 않는다. 그렇게 녹초가 돼 집으로 돌아온 미경씨는 난장판이 돼 있는 거실 앞에서 결국 무너지고 만다. 이 지옥 같은 일상은 도대체 언제쯤 끝나는 것일까.

이 작가는 이 책으로 데뷔한 신인이다. 일상 속 드러나지 않은 여러 슬픔의 순간을 포착하고 감각적으로 그려 내어 그것을 보편적인 공감으로 끌어올리는 탁월한 재주를 가지고 있다. 그림책이지만 꼭 아이만을 위한 건 아니다. 무심코 페이지를 넘기다 보면 울컥 올라오는 것이 있을 것이다. 그 페이지에서 잠시 멈추고 충분히 울어도 좋을 것이다.

오경진 기자
2024-02-09 1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