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富 넘어 권력… 주소에 숨겨진 놀라운 역사

富 넘어 권력… 주소에 숨겨진 놀라운 역사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21-12-02 17:30
업데이트 2021-12-03 02: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소 이야기
디어드라 마스크 지음/연아람 옮김/민음사/496쪽/1만 8000원

전투 대비 징집용으로 시작된 주소
파리선 효율적 시민 감시용 수단도
일괄 주소 부여, 민주주의 증진 효과
지구위 나누는 디지털 주소도 등장

이미지 확대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가의 실질적인 군주였던 마리아 테레지아. 병사 징집을 위해 집집마다 번호를 매긴 것이 번지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민음사 제공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가의 실질적인 군주였던 마리아 테레지아. 병사 징집을 위해 집집마다 번호를 매긴 것이 번지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민음사 제공
주소는 단순히 숫자나 이름의 나열이 아니다. ‘사는 곳이 그 사람을 말해 준다’는 말처럼 주소는 개인의 정체성이나 부, 인종 등을 넘어 권력의 영역까지 확대된다. ‘주소 이야기’는 주소의 기원과 역사를 탐색하고, 주소 체계나 거리 이름 등에 담긴 여러 사회적 의미를 짚은 책이다.
이미지 확대
프랑스 파리의 경찰이었던 기요테가 고안한 수납장. 파리를 여러 구역으로 나누고 집집마다 번호를 매겨 관련 정보를 보관했다. 민음사 제공
프랑스 파리의 경찰이었던 기요테가 고안한 수납장. 파리를 여러 구역으로 나누고 집집마다 번호를 매겨 관련 정보를 보관했다.
민음사 제공
이미지 확대
20세기 초의 ‘도널드 트럼프’라 할 부동산 업자 헨리 맨덜이 미 뉴욕 맨해튼에 지은 고층 빌딩 사이로 옛 저택이 옹색하게 끼어 있다. 19세기 말 대저택들이 밀집했던 ‘파크 애비뉴’의 ‘1번지’였던 이 저택은 주인인 마사 베이컨이 죽은 뒤 맨덜의 건물에 ‘1번지’ 지위를 내주고 철거됐다. 민음사 제공
20세기 초의 ‘도널드 트럼프’라 할 부동산 업자 헨리 맨덜이 미 뉴욕 맨해튼에 지은 고층 빌딩 사이로 옛 저택이 옹색하게 끼어 있다. 19세기 말 대저택들이 밀집했던 ‘파크 애비뉴’의 ‘1번지’였던 이 저택은 주인인 마사 베이컨이 죽은 뒤 맨덜의 건물에 ‘1번지’ 지위를 내주고 철거됐다.
민음사 제공
집에 번지수가 매겨지기 시작한 건 18세기 유럽에서다.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가의 실질적인 군주였던 마리아 테레지아는 숙적 프로이센과의 전쟁을 위해 병력이 필요했다. 1770년에 징집령을 내린 테레지아는 전투 가능한 남자들을 효율적으로 찾아내기 위해 집집마다 번호를 부여했다. 지역에 따라 번호판의 색깔을 구분하고 모든 번지의 아라비아숫자 앞에 번호를 의미하는 ‘No.’를 표기하게 했다. 유독 유대인 집에만 로마자를 표기하도록 한 게 흠이지만, 이 정책은 주효해 무려 700만명에 달하는 ‘싱싱한’ 병사들을 찾아낼 수 있었다.

비슷한 시기, 프랑스 파리의 경찰이었던 자크 프랑수아 기요테는 파리 시민들을 효율적으로 감시하기 위해 회전식 수납장을 고안했다. 파리를 여러 구역으로 나눈 뒤 숫자를 매기고 도로명이 한눈에 들어오도록 석판에 새겼다. 구역마다 배정된 경찰들은 시민의 정보를 수시로 ‘업로드’했다. 주소가 부여되기 전까지 국가는 자국민에 대해 까막눈과 다름없었으나, 번지가 탄생하며 그들이 누구인지 제대로 파악할 수 있게 됐다.

‘번지의 탄생’은 조세, 부역, 반체제 인사 색출 등에만 활용되지 않았다. 저자는 “계급의 구분 없이 모든 가옥에 번호를 새기는 일은 합리성과 평등이라는 계몽사상의 원칙을 한층 증진시켰다”고 평가했다. 유권자 등록 등이 쉬워지면서 민주주의가 증진됐고 치안이나 방역 등에도 도움이 됐다.
이미지 확대
부를 증식시키는 수단으로도 쓰였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같은 부동산업자들은 ‘센트럴파크’처럼 비싸 보이는 주소를 건물에 붙여 부동산 가치를 높이려 애썼다. 뉴욕에선 1만 1000달러(2019년 기준)만 내면 현주소를 ‘매력적인 주소’로 바꿀 수 있기 때문이다. 그가 1997년 교통 체증으로 악명 높은 ‘콜럼버스 서클 15번지’에 세운 건물 주소를 ‘센트럴파크 웨스트 1번지’로 바꾼 건 유명한 일화다. 아울러 책은 도로에 이름이 없고 작은 블록인 초(町)로 공간을 인식하는 일본, 일제강점기의 ‘지번’ 영향에서 벗어나 도로명주소로 변화를 꾀하는 한국, 빈민촌의 주소 부여에 골머리를 앓고 있는 인도 등 세계 여러 나라의 주소에 얽힌 이야기를 그려 내고 있다.

여태 주소가 없는 나라도 많지만 지구 반대편에선 벌써 지구 위의 모든 공간에 주소를 부여하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왓스리워즈(what3words)는 세상 모든 주소를 3개의 고유단어로 만드는 스타트업이다. 3m×3m 정사각형의 각 면에 3개의 고유한 단어를 부여해 주소를 만든다. 예를 들어 도로명 주소가 ‘서울 중구 세종대로 124’인 서울신문 입구의 3m×3m 블록 하나의 주소는 ‘평안, 차차, 가상’이다. 바로 옆 블록은 ‘설탕, 긴급, 공상’이다. 누군가 위급 상황이 생겼을 때 이 방식으로 주소를 알렸다 치자. 순찰차가 잘못 찾아갈 가능성은 ‘0’에 가깝다. 영국에선 이미 이 주소 기술을 도입해 긴급 구조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한다. 책은 구글 플러스코드 등 디지털 주소의 등장으로 변해 갈 주소의 미래도 함께 내다본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21-12-03 21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