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패드 같은 조선의 ‘유연전’ 상속 둘러싼 욕망 엿보다

패드 같은 조선의 ‘유연전’ 상속 둘러싼 욕망 엿보다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21-07-01 17:42
업데이트 2021-07-02 02: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유의 귀향 조선의 상속
권내현 지음/너머북스/352쪽/2만 3000원

수사보고서 같은 이항복 ‘유연전’
16세기 남녀 균분상속제 톺아봐

유럽 장자 단독 상속제 거울삼아
당시 정치적 역학 관계 등 풀어내

“신분제는 태어나면서 얻은 조건
상속의 가치 기준 사회 합의 필요”

이미지 확대
이항복이 지은 ‘유연전’.
이항복이 지은 ‘유연전’.
조선시대 문신 이항복이 낸 책 중에 ‘유연전’이 있다. 등장인물 모두가 실재했다는 점에서 수사보고서나 다름없는 책이다. ‘유유의 귀향 조선의 상속’은 이 ‘유연전’을 바탕으로 조선의 상속 제도를 돌아보고 있다. 등장인물들의 사연에 당시 상속 제도와 정치적 역학관계 등을 덧붙이는 방식으로 이야기를 이끌어 간다. 여기에 유럽의 장자 단독 상속제 등 다양한 사례를 거울삼아 당대를 톺아보고 있다.

‘유연전’은 상속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패륜 드라마에 가깝다. 대략의 내용은 이렇다. 대구의 한 고을 현감을 지낸 유예원은 3남2녀의 자식을 뒀다. 한데 맏아들 부부가 후사 없이 세상을 뜨면서 비극이 시작됐다. 맏아들 역할을 떠맡게 된 둘째 유유는 여렸다. 대구 무반의 딸 백씨와 결혼했지만 자식이 생기질 않았다. 이 탓에 아버지와 불화하고 급기야 홀연히 사라져 버렸다.

이후 8년 만에 유유의 소식이 전해졌다. 그가 황해도 해주에서 채응규로 살고 있다는 소식을 전한 이는 삼남 유연의 자형이자 왕족인 이지였다. 해주로 달려간 유연은 채응규와 함께 대구로 돌아왔다. 결론부터 말하면 채응규는 가짜였다. 이지 등과 짜고 처가의 재산을 가로채려던 일당 중 하나였다. 한데 유연은 형이 가짜라는 걸 알아봤지만 희한하게도 유유의 부인 백씨는 입장을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

이 와중에 또 하나의 사건이 터졌다. 보방(보석) 조치로 집에 머물던 채응규가 감쪽같이 사라진 것이다. 이 일로 유연은 유유(채응규) 살해범으로 고발당해 모진 고문을 받고 결국 능지처참으로 죄 없이 죽었다. 유연을 고발한 이는 백씨였다. 재산을 탐해 형을 살해했다는 혐의였다.
이미지 확대
그로부터 16년 뒤, 경북 영주에서 훈장 노릇을 하던 진짜 유유가 나타나자 유연의 아내 이씨의 발 빠른 대처로 유연은 신원됐다. 이지는 신문받다 목숨을 잃었고 채응규는 압송 과정에서 극단적 선택을 했다. 유유 역시 아버지 상을 등한시한 죄로 옥살이를 한 뒤 2년 만에 세상을 떴다. 악녀 정황이 다분했던 백씨는 명백한 증거를 찾지 못해 처벌받지 않았다.

장자 상속이 만연했을 법한 조선시대지만 사실 ‘유연전’의 배경이었던 16세기까지만 해도 조선은 남녀 균분상속제였다. 예컨대 백씨 입장에서 상속 과정을 정리하면 이렇다. 세도가 집안의 적녀였던 백씨는 서자들에 비해 더 많은 친정 재산을 상속받을 수 있었다. 시가는 좀 달랐다. 남편이 죽고 자식마저 없다면 ‘형망제급’ 규정에 따라 남편 재산이 시동생인 유연에게 돌아가게 된다. 집의 소유권 등 총부(婦·적장자손의 부인)의 각종 권리도 유연에게 넘어갈 위기였다. 백씨가 채승규 첩의 아들을 의자녀 삼아 자신의 집으로 들인 건 이런 계산이 깔린 행동이었을 것이라고 저자는 보고 있다.

저자가 던지려는 화두는 사실 “상속의 목적에 대한 고민”이다. 상속을 통한 기대와 목적이 뚜렷했던 조선시대와 달리 가부장제도가 와해된 요즘, 상속은 그저 일방적인 혜택에 머물고 있다. 저자는 “태어나면서 획득된 조건이 개인의 성취를 좌우한다면 신분제 사회와 다름없다”며 “상속된 부를 일정 부분 사회화하는 등 상속의 가치 기준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때”라고 지적했다.
손원천 선임기자 angler@seoul.co.kr
2021-07-02 21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