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 통하고 배려하는 동물들, 인간보다 낫네

마음 통하고 배려하는 동물들, 인간보다 낫네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17-03-10 22:30
업데이트 2017-03-11 00: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소리와 몸짓/칼 사피나 지음/김병화 옮김/돌베개/782쪽/3만 5000원
이미지 확대


원제는 ‘비욘드 워즈’(Beyond Words)다. ‘(인간의) 언어 저편에’ 정도로 해석될 수 있을 듯하다. 언어는 인간임을 확인시켜 주는 도구다. 동시에 동물과의 경계를 가르는 틀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는 언어를 지극히 인간중심적 관점에서 봤기 때문에 나온 결론이다. 형태는 다르더라도 언어와 다름없는 수단이 있다면 동물도 인간처럼 마음으로 소통하는 존재일 것이다. 새 책 ‘소리와 몸짓’이 파고든 것도 바로 이 분야다.

책엔 수많은 동물이 등장한다. 주인공은 코끼리와 늑대, 범고래다. 코끼리가 코를 활용해 내는 소리와 늑대의 울음소리(하울링), 범고래가 가진 자기만의 ‘서명 휘파람 소리’ 등 각각의 소리와 몸짓이 가진 의미가 무엇인지 탐색하고 있다. 여기에 죽은 동료를 그리워하는 도마뱀, 이웃과 음식을 나눠 먹는 보노보 등 여러 동물들에 대한 믿기 힘든 관찰기를 곁들였다.

코끼리의 사회성은 이미 알려졌다. 암컷이 죽은 새끼 주변을 지킨다거나, 여럿이 죽은 코끼리를 풀과 흙으로 덮어 주는 장면 등이 종종 관찰된다. 늑대의 사회성도 익히 알려져 있다. 알파(우두머리) 수컷은 사냥 때마다 중요한 몫을 한다. 하지만 사냥 뒤엔 다른 늑대들이 배불리 먹도록 자리를 비켜 준다. 권력을 잡았다 하면 이를 과시하려 드는 인간보다 더 낫지 싶다.

범고래는 잔인한 포식자다. 자신보다 큰 혹등고래라도 여럿이 맹렬히 돌진해 잡아먹는다. 범고래는 잡은 사냥감을 언제나 나눠 먹는다. 한 입거리도 안 되는 연어를 잡더라도 가족과 나누는 경우가 80% 정도다. 한데 이런 범고래에게 인간은 예외다. 다른 해양동물에게는 무자비한 범고래가 유독 인간을 해치지 않는 이유는 여전히 수수께끼다. 이들 역시 저마다 가진 ‘서명 휘파람 소리’를 통해 사냥하고 사랑을 나눈다. 저자가 동물들의 삶을 시시콜콜 설명하는 이유는 모든 생명은 하나란 것을 이해시키기 위해서다. 미국 옐로스톤 국립공원에서는 69년 동안 늑대를 인위적으로 없앴다. 그 결과 엘크가 급증했고, 비버의 먹이는 줄고, 인간도 살 수 없는 환경이 됐다. 인간은 창조적인 동시에 파괴적이다. 이런 인간에게 저어새가 3000개체 남았다고 설명하는 것은 별 의미가 없다. 그들의 삶을 이해시켜야 한다. 책의 발간 목적이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7-03-11 19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