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고고학 100년 ‘苦·苦’한 민낯

고고학 100년 ‘苦·苦’한 민낯

안동환 기자
안동환 기자
입력 2016-09-25 17:26
업데이트 2016-09-25 17: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 고고학 백년사’ 펴낸 지건길 前 국립중앙박물관장

1880년 중국 지린성 지안현 광개토대왕비의 발견을 시작으로 1980년 경주 황룡사 터 발굴까지 100년에 걸친 우리나라 고고학의 역사를 기록한 책이 나왔다. 국내 대표적인 고고학자인 지건길 전 국립중앙박물관장이 펴낸 ‘한국 고고학 백년사’(열화당)는 안타까움과 굴곡으로 점철된 한국 고고학의 민낯을 드러낸 최초의 자화상이다.

이미지 확대
지건길 전 국립중앙박물관장이 25일 서울 중구 세종대로 서울신문사에서 인터뷰를 하고 있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지건길 전 국립중앙박물관장이 25일 서울 중구 세종대로 서울신문사에서 인터뷰를 하고 있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지 전 관장은 25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우리 고고학 100년사 중 무려 3분의2인 65년을, 일본이 주도한 식민사학과 대동아공영의 야심을 위해 자행했던 금석학적 자료를 통한 견강부회식 해석과 접근 방식을 우리 고고학의 첫 반열에 올려 놓을 수밖에 없다는 점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특히 우리 민족사에서 가장 오래된 금석문으로 동북아시아 고대사 연구의 귀중한 사료인 광개토대왕비의 역사 왜곡까지 우리 근대 고고학에서 제외할 수 없는 게 엄연한 역사적 현실임을 부정하기 어렵다는 게 그의 한탄이다. 실제로 일본은 광개토대왕릉비문 내용의 ‘사카와 탁본’을 토대로 일본이 과거에 백제와 신라를 격파하고 임나일본부를 세웠다고 여전히 주장하며 교과서에서도 가르치고 있다.

중국 지린성 지안현에 있는 광개토대왕비. 지건길 전 국립중앙박물관장은 이 비가 발견된 1880년을 한국 고고학사의 시발점으로 본다. 서울신문 DB
중국 지린성 지안현에 있는 광개토대왕비. 지건길 전 국립중앙박물관장은 이 비가 발견된 1880년을 한국 고고학사의 시발점으로 본다.
서울신문 DB
지 전 관장은 개인적으로 1971년 초급 학예사로 직접 참여했던 백제 무령왕릉 발굴을 고고학의 부끄러운 지점으로 꼽는다.

“1박 2일 만에 발굴을 마쳤어요. 아무 사전 준비 없이 마구 파내려 가다 발굴 현장에서 엄청나게 많은 금붙이와 유물들이 발견되니 모두 우왕좌왕 허둥대다가 다시 덮었어요. 지금으로서는 상상할 수 없는 발굴이었죠. 정말 부끄럽지만 무령왕릉 발굴의 쓰디쓴 경험이 바탕이 돼 경주 천마총 발굴이 가능했습니다.”

현재까지도 무령왕릉 발굴은 묘실 개봉에서 유물 수습까지 보존 처리도 하지 않은 채 단 17시간 만에 끝낸 한국 고고학 역사상 최악의 발굴로 회자되고 있다.

그를 아프게 한 발굴 현장은 최근까지도 반복됐다고 한다. 이명박 정부가 4대강 사업을 하면서 인근 지역에 대한 조사와 발굴이 거의 이뤄지지 못한 채 졸속으로 종결됐다는 게 그가 지켜본 4대강 사업의 발굴 현장이었다.

지 전 관장은 “문화재위원회 매장분과 위원으로 발굴을 지도했지만 위에서는 ‘무조건 빨리 끝내라’고 연일 독촉했다. 정말 냉가슴 앓듯이 발굴도 하지 못한 채 그냥 지나친 현장이 적지 않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그가 우리 고고학의 정착기(1971~1980)로 정의한 시점 이후 아파트와 고속도로 등이 마구잡이로 건설되면서 국내 발굴 역사의 상당 부분은 ‘구제 발굴’에 그쳤다. 실제 고고학적 업그레이드가 될 수 있는 순수 ‘학술 발굴’은 거의 실종됐다고 그는 전한다.

지 전 관장은 “젊은 시절부터 고고학사 책을 써 보고 싶다는 꿈을 갖고 있었다”면서도 이 책을 내기까지 10여년이 넘게 걸렸다고 말한다. 일제강점기 당시의 고고학 발굴 기록부터 북한, 일본, 유럽 등에서 문헌 자료를 수소문하고 모으는 데 적지 않은 세월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한·중 수교가 이뤄지기 전인 중공 시절에 입수한 북한 고고학 자료들의 경우 국가보안법에 걸리지 않기 위해 여행가방 밑바닥 깔판에 끼워 밀수하듯 세관을 통과했어요. 그렇게 일본, 중국, 북한 등에서 어렵게 확보한 자료들이 모두 이 책에 담겼습니다.”

지 전 관장은 한국 고고학 백년사를 여명기(1880~1900)와 맹아기(1901~1915), 일제강점기1(1916~1930), 일제강점기2(1931~1944), 격동기(1945~1960), 성장기(1961~1970), 정착기 등 7개 시기로 재구성했다. 책에는 북한 고고학 성과를 반영하고, 관련 사진 37점과 발굴 도면 108점을 수록해 충실한 이해를 도왔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2016-09-26 21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