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소를 비료와 폭탄으로… 과학의 두 얼굴

질소를 비료와 폭탄으로… 과학의 두 얼굴

함혜리 기자
입력 2015-09-18 18:00
업데이트 2015-09-18 22: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기의 연금술/토머스 헤이거 지음/홍경탁 옮김/반니/380쪽/1만 8000원
이미지 확대


질소는 대기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그대로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독일 과학자 프리츠 하버(1868~1934)와 카를 보슈(1874~1940)는 오랜 연구 끝에 공기 중 질소를 암모니아로 변환해 질소비료를 만드는 법을 발견하고 이를 실용화했다. 세계의 식량 공급이 인구 증가를 따라가지 못해 대기근이 발생하리라 예측되던 시대였다.

하지만 인류를 구원하게 됐다는 기쁨도 잠시, 두 차례의 세계대전 속에서 질소는 독가스와 폭탄 제조에 사용되면서 이들은 명예와 비난을 동시에 짊어지게 된다.

‘공기의 연금술’은 인류 역사상 가장 중요한 발견을 이뤄 낸 두 과학자의 삶과 그들의 과학적 발견을 드라마틱하게 펼친다. 하버는 암모니아 합성법으로 1918년 노벨화학상을 받으며 ‘공기로 빵을 만든 과학자’라는 칭송을 받았지만 이후 ‘독가스전의 아버지’로 비난받기도 했다. 1차 대전 종전 후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독일에 부과된 엄청난 전쟁 배상금을 벌기 위해 바닷물에서 금을 추출하는 실험을 하는 등 조국에 헌신했음에도 불구하고 하버는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버림받았고, ‘전쟁 중에나 평화로울 때나 조국이 허락하는 한 조국에 봉사했다’는 묘비명을 남겨 달라는 유언조차 이뤄지지 못했다.

독일의 화학회사 바스프의 화학자였던 보슈는 고정 질소로 암모니아 생성에 성공한 하버의 기계를 실용화하는 데 성공해 ‘하버보슈 공정’을 완성했고 그 공로로 1931년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

바스프의 대표가 된 뒤 회사를 지키기 위해 제2차 세계대전 중 나치 정권에 협력했지만 결국 홀로 남아 쓸쓸한 말년을 보냈다.

저자는 머리말에서 “인류를 이롭게 하기 위한 과학적 이타심이 정치와 권력, 돈, 개인적 욕망과 맞닥뜨렸을 때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 보여 주고 싶었다”며 “그것이 진짜 과학의 세계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과학의 양면선을 이야기하는 책은 시대적 숙명 속에서 과학자에게 윤리란 무엇인지. 과학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생각하게 한다.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5-09-19 19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