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34년 전 광주로 시간 되돌려 죽은 자와 산 자의 고통 인간 존엄 깨달았죠”

“34년 전 광주로 시간 되돌려 죽은 자와 산 자의 고통 인간 존엄 깨달았죠”

입력 2014-05-20 00:00
업데이트 2014-05-20 09: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 장편 ‘소년이 온다’ 펴낸 한강

한강(44)의 새 장편 ‘소년이 온다’는 읽어 내기가 힘겹다. 깊은 사유가 맺힌 그의 정교한 문장들을 타고 한 호흡에 읽을 수 있을 것 같지만 거듭 숨을 골라야 한다. 1980년 5월 광주의 한복판으로 우리를 데려갔다가 그 참혹이 계속되고 있는 현재를 겹쳐 보이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한강 작가는 “(5·18에 대한 이야기를) 거쳐 가야 진정한 회복이 될 것 같았다”며 “쓰면서 인간이 존엄하다는 걸 발견했다”고 말했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한강 작가는 “(5·18에 대한 이야기를) 거쳐 가야 진정한 회복이 될 것 같았다”며 “쓰면서 인간이 존엄하다는 걸 발견했다”고 말했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작가 역시 그랬다. 자료 조사와 취재, 집필을 하는 1년 반 동안 악몽을 꿨고 지하철에선 눈물을 쏟았다. 1980년 그해 여름을 미처 건너오지 못한 한 소년 ‘동호’를 떠올렸기 때문이다.

“어느 기사에서 한 프로파일러가 그러더군요. 살인 현장에서 일하는 직업 때문에 길을 가다 문득 눈물이 쏟아지고 바다에 가면 뛰어들고 싶은 생각이 든다고요. 저도 3개월간 5·18 자료만 보다 보니 딱 그 상태였어요. 책상 앞에 앉는 게 벌을 받는 것 같고 작업실에서 나올 땐 누군가를 두고 나오는 느낌이었어요.”


“소설은 그날 파괴된 영혼들이 못다 한 말들을 대신 전하고 그 속에서 한 사람이 자기 파괴를 각오할 때만 도달할 수 있는 인간 존엄의 위대한 증거를 찾아내는데 (중략) 원망스러울 만큼 정확한 표현으로 읽는 이를 고통스럽게 한다”는 신형철 평론가의 평은 증언하는 자나 증언을 듣는 자에게나 예외가 아닌 셈이다.

이야기는 ‘너’로 지칭되는 ‘동호’의 조각들을 맞추는 구성으로 짜여 있다. 5·18 당시 중학교 3학년이던 동호는 친구 정대가 계엄군의 총에 스러지는 장면을 목격하고 도청 상무관에서 ‘시취를 뿜어내는 것으로 또 다른 시위를 하는 것 같은’ 시신들을 수습한다. 정대의 누나 정미는 실종되고 동호와 함께 일하던 형과 누나들은 고문 끝에 살아남아도 결국 자살하거나 허수아비처럼 영영 일상과의 끈을 잇지 못한다. 작가가 34년 전 광주로 시간을 되돌린 이유는 뭘까. 5·18이 있기 몇 개월 전 광주에서 서울로 이사한 그는 명절 때 ‘그 일’을 얘기하는 친척들의 수군거림을 들었다.

“늘 제 소설 속에는 내적 탐색과 투쟁이 있었어요. ‘왜 내가 인간을 이토록 의문을 가지고 바라보는지, 인간을 껴안는 게 왜 이렇게 힘든 것인지’라는 질문에 계속 다가서다 보니 5·18과 마주하게 됐어요. 인간의 근원과 닿아 있는 광주를 일단 통과해야겠다 싶었죠.”

7장으로 이뤄진 소설은 장마다 화자와 화자가 지칭하는 인물을 달리해 죽은 자와 산 자의 고통을 입체적이고 통감각적으로 되살린다. 열흘간의 사건 이후 5년, 10년, 20년, 33년 등 시간적 배경을 현재까지 연결해 광주 사태가 현재진행형임을 상기시킨다.

“5·18을 다룬 다른 작품들에선 사건 열흘간의 시간은 많이 형상화됐지만 이후 이야기는 없었어요. 이건 내가 얘기할 수 있겠다 싶었죠. 하나도 해결된 것 없이 광주가 계속 돌아오고 있다고 생각했던 건 용산 참사 때문이었어요. 그때 뭔가 얘기하고 싶었습니다. 세월호 참사 역시 공권력이 비어 있는 자리에서 자원봉사자, 유족 등 약자들이 서로 껴안고 있는 모습이 (광주와) 겹쳤고요.”

여고 3학년 때 5·18을 겪은 ‘은숙’은 출판사 편집자로 일하며 경찰에게 원고를 검열받다 뺨 일곱대를 맞는다. 피가 맺히는 통증보다 그를 더 먹먹하게 한 것은 먹선으로 지워진, 숯이 된 문장들이었다. ‘인간은 무엇인가. 인간이 무엇이지 않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답을 찾았느냐고 묻자 작가는 시신에 흰 천을 덮어 주던 사람들의 손길을 얘기했다.

“‘5월 광주’는 제가 보고 들었던 것보다 실제로 일어난 현실이 더 참혹했어요. 도저히 길을 못 찾을 것 같던 때 폭력보다 그 속에서 반짝이고 있었던 사람들 하나하나가 보였어요. 밥을 나누고 시신을 하얀 천으로 덮어 주던 사람들…. 인간은 생명을 맨 앞에 두고 예의를 갖추고 존엄을 지키려는 존재라는 것, 그걸 잊지 않겠다는 각오를 하게 됐습니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4-05-20 17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