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단 5년만에 첫 시집…삶의 무게 그대로 품어

등단 5년만에 첫 시집…삶의 무게 그대로 품어

입력 2012-08-25 00:00
수정 2012-08-25 00: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옆구리의 발견】 이병일 지음 창비 펴냄

섣불리 판단하지 말자. 등단 뒤 5년 만에 불쑥 내민 시인 이병일의 첫 시집 ‘옆구리의 발견’(창비 펴냄)은 한마디로 단정 짓기 힘들다. 심미적이고 감각적인 상상력의 세계는 영국식 탐미주의를 떠올리게 하지만 시구 마디마디에는 오히려 삶의 오롯한 무게를 그대로 품고 있다.

삶의 단면을 바라보는 차분한 시선, 존재의 기원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 사물의 마음까지 단박에 읽어내는 섬세한 감성이 감동을 자아낸다.

세상의 옆구리에 박히는 붉은 심장의 박동을 세어보기 위해 ‘격장’(隔墻)을 이뤘고(‘옆구리의 발견’), 뼈 울음 같은 고락을 느끼며(‘빙폭’), 파동이 있는 곳을 응시함으로써(‘파랑의 먼 곳으로부터’) 맑고 깊숙한 마음 속 동산으로 가려 했다.

시인 정희성은 “담 하나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웃하는 것이 격장이라면 이를 허무는 것이 시인답지 않으냐.”면서도 “하지만 (시인은) 차라리 아름답게 가꾸려는 것인지…이러한 태도를 현실주의라 해야 하나, 심미주의라고 해야 할까.”라며 고민한다.

삶의 모순을 예리하게 포착해 낸 시인은 고단한 이웃에게 애정어린 시선도 건넨다. 맨발들이 숙명으로 국경을 넘는 탈북자의 세계(‘꽃제비’)도 예외는 아니다. “우리는 추락의 아름다움이 비명에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비명 따위는 지르지 않았다…오늘도 나는 앰뷸런스에 실려가는 하루를 보았다.”(‘사소한 기록’)에선 건설현장 노동자의 팍팍한 삶을 읊조렸다. 튼실한 현실인식을 갖춘 시 ‘오월’로 올해 5·18문학상을 수상한 이유다.

문학평론가 유성호는 “어떤 시편을 인용하더라도 상관없을 것 같은 균질성으로 자신의 첫 번째 ‘집’을 이토록 아름답게 장만했다.”고 평가했다. 첫 시집부터 명민한 담론 구성을 욕망하는 여느 시인들과 달리 전혀 다른 곳에서 몸소 체험해 얻은 언어들로 격장을 이뤘다는 설명이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2012-08-25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