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금의 풍미·소금에 얽힌 인간 군상

소금의 풍미·소금에 얽힌 인간 군상

입력 2012-08-04 00:00
업데이트 2012-08-04 01: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지만 큰 한국사, 소금】 유승훈 지음 푸른역사 펴냄

건강의 적으로 소금이 떠오른 지 오래다. 먹을 수밖에 없다면 정제염 대신 천일염을 쓰자는 말도 오래됐다. 그렇다면 혹시 ‘자염’(煮鹽)은 들어봤는지.

‘작지만 큰 한국사, 소금’(유승훈 지음, 푸른역사 펴냄)은 이제는 잊혀진, 재래염이라 불리던 자염에 대한 얘기를 들려준다. 자염은 삶을 자(煮)자를 쓴다. 소를 이용해 갯벌을 갈아서 들고 나는 바닷물을 한데 모아 염도를 한껏 끌어올린 뒤 이 물을 솥에다 끓여 소금을 얻는 방식이다. 옛 어른들이 소금을 두고 “굽는다.”고 표현한 이유다.

자염의 매력은 여기서 나온다. 갯벌에서 구워 내니 천연미네랄이 풍부하다. 단순히 짜기만 한 게 아니라 독특한 풍미까지 더해 줘 천연조미료 역할도 했다. 천일염이 나왔어도 조선 사람들이 자염을 더 좋아한 이유다. 다른 양념도 변변찮았을 텐데 짜기만 한 소금으로 어떻게 음식을 해 먹었을까 걱정하는 건 현대인들의 착각일 뿐이다. 염전에다 세금을 매길 때 갯벌의 질까지 따졌던 이유도 여기에 있다. 1부에서는 세종, 유성룡, 정약용 등을 등장시켜 소금전매제를 키워드로 소금과 국가재정의 문제를 다뤘다. 2부에서는 소금장수를 둘러싼 민담, 실제 소금 생산 과정, 고된 노동을 감내했던 염부들의 삶을 조명해 뒀다.

소금의 역사와 그를 둘러싼 인간 군상들의 모습을 그려 냈다는 점에서 책 전체에 흥미로운 얘기들이 넘쳐난다. 그런데 지나치게 기존 역사관에 얽매인 것 같은 인상은 아쉬움을 남긴다.

재밌게 읽히는 부분은 중간중간에 끼워 둔 답사기들이다. 저자는 젓갈 장수를 했던 어머니에게서 나는 짠 내에 대한 기억에서 출발해 소금에 대한 공부를 시작했고 10여년간 소금 생산지를 일일이 찾아다니며 전국을 방랑했다고 한다. 그 현장 얘기에서는 바닷바람과 짠 내가 고스란히 묻어 나온다. 2만원.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2-08-04 19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