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로 읽는 청년 윤동주의 삶

소설로 읽는 청년 윤동주의 삶

입력 2012-06-30 00:00
업데이트 2012-06-3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소설로 읽는 청년 윤동주의 삶

●별을 스치는 바람 1·2(은행나무 펴냄) 1944년 12월 일본 후쿠오카 형무소의 조선인 수용동 중앙 복도에서 스기야마 간수가 목매달아 죽은 채 발견됐다. 교토 출신 학병인 와타나베 유이치는 이 살인 사건의 조사를 맡았다. 스기야마에게 폭행을 당한 최치수를 조사하는 중 히라누마라는 용의자를 잡게 된다. 스기야마는 히라누마의 시를 좋아하고 세뇌돼 그의 시를 읽지 않으면 견딜 수 없게 된다. 장편소설 ‘별을 스치는 바람’은 예상했던 대로 학도병이었던 시인 윤동주의 ‘서시’ ‘별 헤는 밤’ 등의 아름다운 시와 자유에 대한 뜨거운 갈망을 그린 소설이다. ‘뿌리 깊은 나무’ ‘바람의 화원’ 등을 펴낸 이정명 작가의 작품으로 책이 나오기도 전에 5개 국어로 판권이 수출돼 주목됐다.

일상을 담은 눈물같은 詩 55편

●살구나무에 살구비누 열리고(문학동네 펴냄) 시인 김륭은 ‘개소리를 개나리로 읽는 시인’과 ‘복날을 봄날로 읽는 정치인’, ‘봄날을 복날로 착각하는 판관’이 벌이는 ‘개나리 소송’에 대한 시를 썼다. 개나리 소송이라고? 옆집 개가 짖는다고 2000만원 소송을 건 이른바 ‘개소리 소송’의 변주곡이다. ‘삐뽀삐뽀 눈물이 달려온다’는 동시집으로 이미 동시 문학계에 이름을 알린 김륭의 첫 번째 시집에는 읽으면 읽을수록 마음이 착잡해지는 시들로 가득하다. 일상을 배경으로 하는 55편의 시는 여름날 햇빛이 너무 쨍해 맥없이 눈물이 삐져나오는 것 같은 것들이다. 새로운 것도 없는 일상에서 또 눈물을 닦고 살아야겠지만, 일상은 왜 그리 아무렇지도 않게 우리를 고단하게 하는 것이냐. 김륭은 그래서 이렇게 말한다. ‘울어라 울지 않으면 바람이 아니다 살아서 울지 않으면 사람이 아니다.’

시인 23명이 찾은 ‘영혼의 거처’

●시인들의 오지 기행 고요로 들다(문학세계사 펴냄) 박후기 이윤학 이문재 등 젊은 시인 23명이 남한의 오지, 산과 섬들을 찾아나섰다. 민통선에서 제주도까지. 이제는 거의 사라진 낡고 허름한 기와집도 아닌 기와집이나 마당의 부초꽃도 볼 수 있다. 강원도 어딘가의 ‘도원으로 들어가는 비밀지도’, 남해 어딘가의 ‘동백꽃 붉은 용암으로 넘치는 섬’을 내 영혼의 거처로 삼는다. 오지 여행은 그 여행을 찾아가는 그 길이 수행의 길이자 길을 가야만 찾을 수 있는 도(道)일지도 모른다. 시인들은 주소 없는 그곳을 찾아가며 무슨 생각을 풀어 놓는가.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

2012-06-30 20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