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인체비례·미터법… 측정, 역사를 창조하다

인체비례·미터법… 측정, 역사를 창조하다

입력 2012-06-02 00:00
업데이트 2012-06-0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측정의 역사】 로버트 P 크리스 지음/에이도스 펴냄

이런 얘기가 있다. 머나먼 외딴 바닷가 마을에 수백년 동안 낮 12시 정각마다 울리는 대포가 있었다. 사람들은 이 포성 덕분에 안정적이고 규칙적인 삶을 살았다. 어느 날 한 소년이 산에 올라가 포수에게 어떻게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오포(午砲)를 울리는지 비결을 물었다. 포수가 말하길 “부대장님의 명령에 따라 포를 쏜단다. 정확한 시간을 재는 건 부대장님의 중요한 임무지.” 소년은 부대장을 찾았다. “읍내 시계방에서 내 시계를 정확히 맞추면 된다.” 소년은 또 시계방 주인에게 물었다. 주인의 답은, “오포 소리에 맞추면 틀림없지.”

삶의 모든 것은 측정에서 비롯됐지만 너무나 일상적이기 때문에 이 측정이 어떻게 나왔고 어떻게 생활에 녹아들었는지에 대해서는 관심이 많지 않다. 꼭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은 아니지만, 혹여 재미있게 알고 싶다면 미국 뉴욕 스토니브룩 대학 철학과 교수이자 물리학자인 로버트 P 크리스가 정리한 ‘측정의 역사’(노승영 옮김, 에이도스 펴냄)를 들춰봐도 좋겠다.

마치 머나먼 외딴 바닷가 마을 소년처럼, 저자는 기원전 3000년경부터 현대까지, 임시방편 척도부터 빛의 길이와 질량의 무게를 재는 절대 측정의 체계까지, 차근차근 찾아가면서 설명한다.

가장 유명한 척도라면 균형 잡힌 인체다. 기원전 1세기 전 ‘건축십서’에 보면 “안면은 턱에서 이마 위 머리카락까지 전체 키의 10분의1, 발 길이는 키의 6분의1, 팔 길이와 가슴 폭은 4분의1 등 각기 자신의 조화로운 비례를 갖는다.”고 돼 있다.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인체비례도’를 언급하지 않더라도, 인체 치수는 최근에도 활용되는 보편적인 척도다. 이를테면 허리둘레는 목둘레의 두 배, 목둘레는 손목둘레의 두 배라는 식이다.

이런 인체비례뿐 아니라 음계로서 고유 문화와 국가 정체성을 확립하려 했던 중국 왕조, ‘금분동’이라는 저울추를 이용해 독창적인 측정을 한 서아프리카의 아칸족, 도량형으로 착취와 억압을 당한 중세 유럽 농민들까지 두루 아우르다가 프랑스에서 한동안 머무른다.

18세기 중반부터 도량형 개혁을 논의하고 1789년 프랑스 혁명으로 측정 체계에 획기적인 변화를 겪은 프랑스가 전 세계 도량형을 통일한 미터법을 보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서다.

측정 원정대 구성, 과도한 10진법 적용, 혁명세력의 도량형 보급 등을 지나 ‘인쇄술 이후 인간의 창의력이 만들어 낸 최고의 발명품’이라는 미터법이 보편적인 측정 체계로 정착하는 과정을 세세하게 이야기한다.

미터법에 대한 비판론과 조롱, 앞서 이야기에서 본 순환논리의 오류 등도 덧대면서 ‘측정’이라는 도구로 인류 문명사와 사회상, 정치 역학관계, 예술을 풀어내는 것이 꽤 흥미진진하다. 1만 8000원.

최여경기자 kid@seoul.co.kr

2012-06-02 18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