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세 가지를 뺀 中역사 흥망성쇠

세 가지를 뺀 中역사 흥망성쇠

입력 2011-01-15 00:00
업데이트 2011-01-15 01: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① 통사형식의 구성 ② 한족중심 역사관 ③ 통치자 왕조사관 【 천추흥망】정근희 등 옮김 따뜻한손 펴냄

너무도 잘 안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잘 알지 못하는 것. 또한 긍정과 부정의 양 극단을 오가면서도 중심을 제대로 잡지 못하는 것이 중국 역사에 대한 우리 앎의 현주소다. 학창 시절 세계사 시간에 줄줄 외워야 했던 ‘은-주-진-한-남북조’는 박제화한 중국 왕조사의 나열에 불과했고, 진시황의 분서갱유니, 안녹산의 난이니, 중국의 4대 발명품이니 하는 것은 단편적 지식의 축적일 뿐이었다. 굳이 중국의 역사를 배워야 할 만큼 지피지기(知彼知己)의 교훈도 없었고, 미래 한·중 관계의 새로운 전망도 갖기 어려웠다. 과거의 역사를 읽는 것도, 외국의 사례를 들여다보는 것도 결국 ‘지금, 이곳’에 대한 문제의식에서라면 아쉬움이 컸던 것이 사실이다. ‘천추흥망’(정근희 등 옮김, 따뜻한손 펴냄)은 중국의 5000년 역사를 한 줄기에 꿰어 재해석한 역사서다. 2년 남짓 산고를 거친 끝에 최근 8권으로 완간됐다.

중국의 세계적 석학으로 꼽히는 거젠슝(葛劍雄) 상하이 푸단대 교수가 총편집을 담당한 ‘천추흥망’은 중국 최초의 통일 왕조인 진(秦)부터 시작해 신해혁명으로 인해 무너진 중국 최후의 봉건왕조 청(淸)에 이르기까지 중국 역사상 중요한 여덟 개 왕조별로 정치·경제·군사·문화·과학기술·법률·종교 등의 역사적 사건과 흥망 변천사를 들여다보고 있다. 중국 반만년 역사를 보는 도구로서 현미경과 망원경을 동시에 사용하고 있는 셈이다.

단순히 역사학자들의 공동 저서가 아니라 철학·법학·문학·지리학을 전공한 학자들이 참가함으로써 역사 해석의 폭과 깊이를 더욱 풍성하게 한 책이다.

2000년 출간 이후 제12회 중국도서상을 받는 등 중화민국 수립 이후 중국 학계가 이룩한 최고의 연구 성과로 평가받는 ‘천추흥망’ 시리즈의 역사 기술에는 세 가지가 없다.

첫째, 각 권의 구성 체계는 통사(通史)의 형식을 취하지 않았다. 일종의 기전체 형식을 취하며 시기별로 의미 있는 사건과 주제를 선별해 집중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역사의 객관적 서술과 함께 필자의 분석과 해석이 곁들여져 오늘날의 시각으로 재탄생한 것이다.

둘째, 한족(漢族) 중심의 역사관이 없다. 왕조별로 분석하는 틀을 취했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다.

실제 중국 역사에서 한족이 만든 통일왕조는 한(漢), 송(宋), 명(明) 정도뿐이다. 지금 개념으로 따지면 변방 소수민족이 중원으로 진출해 건설한 정권의 발전과 쇠퇴의 이야기를 품으며 폭넓은 시야로 중국사를 서술한다.

55개 소수민족까지 아우르는 넉넉한 시선, 조금 삐딱하게 본다면 하나의 중국 건설이 절실한 과제로 제기되는 현대 중국 정부의 절박함이 지면 너머로 슬며시 비쳐진다.

마지막으로 통치자의 행위와 사건을 중심으로 한 왕조사관이 없다. 당대 사회를 충실하게 재현하며 민중들의 생활상, 사회상을 꼼꼼히 기록했다. 왕조별로 분류된 민중사관에 가깝다.

김창영 따뜻한손 대표는 “중국 왕조의 흥망을 중심으로 중국을 바라보며 중국을 재발견하고 지피지기의 지혜를 배울 수 있을 것”이라면서 “중국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입체적 번역에 중점을 뒀다.”고 말했다.

중국이 만들어낸 중국 역사를 읽는다는 것은 부지불식간에 ‘21세기판 중화주의’를 받아들일 수 있는 우려가 늘 도사리고 있다. 한·중 관계 속에 동북공정 등의 역사 해석의 갈등이 현재진행형으로 남아 있기에 더욱 그러하다. 신영복 성공회대 명예교수가 쓴 제호는 편안하면서도 시원스럽다. 각 권 1만 9800원.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1-01-15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