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제주의 풍경과 아픔, 토속어로 담아내

제주의 풍경과 아픔, 토속어로 담아내

입력 2010-01-09 00:00
업데이트 2010-01-09 01: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수열 네번째 시집 ‘생각을 훔치다’

시도, 사람도 모두 서울로만 모여든다. 여전히 고향을, 지역을 고집하고 있다면 그는 ‘진짜 시인’이거나, 아니면 ‘진짜 지역 사람’이거나, 아니면 둘 다일 것이다.

 네 번째 시집 ‘생각을 훔치다’(삶이보이는창 펴냄)를 내놓은 김수열은 1982년 스물 셋 피 뜨거운 나이에 서울 유수의 문예지로 등단한 촉망받는 시인이었다. 하지만 그는 이른바 ‘중앙문단’을 기웃거리지 않았다. 그렇다고 시를 떠난 것도 아니었다. 30년 가까운 시간 동안 끊임없이 시를 썼고, 고향의 바람과 흙을 연신 맞고 밟아왔다. 그리고 시집 세 권을 펴냈다.

이미지 확대
초겨울 어느날 고향 제주의 곶자왈 동백숲을 찾아 사색에 잠겨 있는 김수열 시인.  삶이 보이는 창 제공
초겨울 어느날 고향 제주의 곶자왈 동백숲을 찾아 사색에 잠겨 있는 김수열 시인.
삶이 보이는 창 제공


●어촌마을 풍경과 4·3항쟁의 기억 詩로

 김수열의 고향은 섬마을이다. 아마도 곶자왈(원시림) 동백이 아름다운 어느 마을일 게다. 60여년 전인 1943년 4월 봄볕 따스했던 어느 날을 기억하고 있는 제주도의 어느 마을일지도 모른다. 시집 전편에서 웅숭깊은 서정의 시어와 뿌리를 기억하는 잎사귀 같은 서사의 힘은 오롯이 제주의 바다와 제주의 사람들이 만들어낸 몫이다.

 시인은 야트막한 구멍 숭숭 뚫린 돌담에 걸터앉아 물끄러미 수평선을 바라본다. 아니, 수평선 안쪽 어디쯤에서 일하는 노부부를 바라본다. 테왁(해녀들의 바다 부력 도구)보다 작아 보이는 할망(할머니)은 메역밭(미역밭)으로 일 나가고, 하르방(할아버지)은 느리적거리다가 겨우 경운기 끌고 와 메역 실어나른 뒤 해안가 볕 바른 데 너는 것이 고작이다. ‘할망 하르방’ 시편에 담겨진 전통적인 제주 어촌 마을의 풍경이다.

 뿐인가. ‘여름날 오후’는 적당히 도시화된 어디쯤의 또다른 할망, 하르방의 새로 시작하는 티격태격 사랑싸움을 그린다. 파치(상품이 안 되는 것) 1000원어치를 사가는 할머니와 그를 타박하며 듬뿍 담아주는 과일 행상 할아버지가 은근히 수작부리며 밀고 당기는 모습을 키득거리는 웃음 참으며 바라보고 있다.

 하지만 그는 자신이 제주에서 나고 자라 여전히 살고 있는 시인임을 결코 잊지 않는다. 4·3항쟁이 남겨놓은 야만의 기억은 제주의 시인 몸 속에 깊이 새겨져 있다.

 ‘차르륵! 차르륵!’은 당시 모진 전기 고문을 당했던 할망이 바람만 불어도 ‘차르륵’ 소리가 들리고, 지나가는 순경만 봐도 ‘차르륵’ 소리가 들리는 등 60년 넘게 상처가 지워지지 않고 있음을 말해 준다. ‘판결’ 역시 마찬가지다. 불완전한 명예회복 속에 4·3의 고통이 여전함을 자학하듯 얘기한다. 허나 여기에서 멈추지는 않는다. ‘서모봉 쑥밭’ 마지막 행 ‘/ 쑥 쥔 손이 너무 불편하다’에서 시인의 내적 세계가 4·3의 피해에만 머물지 않고, 고통스럽지만 뭇 생명의 소중함과 닿는 생명주의의 씨앗을 잉태하고 있음을 엿보게 한다.

●방언 해석 어려우나 정서 전달 확실

 이렇듯 고통스러운 기억이건, 아름다운 풍경이건 군데군데 제주 방언을 쓰곤 하던 김수열은 내친 김에 몇 편의 시는 몽땅 제주의 토속 언어로 써내려 간다.

 ‘어머니의 전화’, ‘대맹일(머리를) 써사 헌다’, ‘깨밭’ 등 시편들은 거의 외국어에 가깝다. 제주 출신의 도움 없이 읽기 어려울 정도다. 하지만 참으로 신기하다. 가만히 운율 따라 몇 차례 읇조리다 보면, 여전히 정확히 해석은 안 되지만 ‘어머니의 전화’에서는 가슴 울컥해지고, ‘깨밭’에서는 슬그머니 웃음지어진다. 토속언어까지 모두 끌어안는 모국어 시(詩)의 힘일까. 괄호 안은 제주 토속어의 해석이다. 애석하게도 시집에는 괄호 해석이 없다. 주변의 제주 출신 친구를 찾아보자.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0-01-09 20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