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 다른 작곡가 넷, 한 무대 위 더 새롭다

완전 다른 작곡가 넷, 한 무대 위 더 새롭다

허백윤 기자
허백윤 기자
입력 2021-08-25 17:26
수정 2021-08-26 04:3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창작 뮤지컬 ‘금악’… 장르 허문 경기시나위오케스트라의 도전

이미지 확대
경기아트센터 대극장에서 공연 중인 뮤지컬 ‘금악’에서는 작곡가 네 명이 의기투합해 꾸민 다채로운 음악을 중심으로 무용, 연희 등 색다른 국악의 맛을 느낄 수 있다. 경기시나위오케스트라 제공
경기아트센터 대극장에서 공연 중인 뮤지컬 ‘금악’에서는 작곡가 네 명이 의기투합해 꾸민 다채로운 음악을 중심으로 무용, 연희 등 색다른 국악의 맛을 느낄 수 있다.
경기시나위오케스트라 제공
창작 뮤지컬을 향한 경기시나위오케스트라의 도전을 눈여겨볼 만하다. 오는 29일까지 경기아트센터 대극장에서 공연하는 뮤지컬 ‘금악’(禁樂)은 국악 기반에 다양한 장르를 더한 매력적인 음악으로 참신한 서사를 이끈다.

●조선 ‘금지된 악보’ 둘러싼 판타지

이야기는 조선시대 순조 재위 말기 효명세자(이영)가 대리청정하던 시기를 배경으로 한다. 궁중에서 연주하는 음악과 무용에 관한 일을 담당한 관청인 장악원을 중심으로 통일신라부터 전해져 온 금지된 악보인 ‘금악’을 둘러싸고 펼쳐지는 기묘한 사건을 역동적으로 다룬다.
이미지 확대
경기아트센터 대극장에서 공연 중인 뮤지컬 ‘금악’에서는 작곡가 네 명이 의기투합해 꾸민 다채로운 음악을 중심으로 무용, 연희 등 색다른 국악의 맛을 느낄 수 있다. 경기시나위오케스트라 제공
경기아트센터 대극장에서 공연 중인 뮤지컬 ‘금악’에서는 작곡가 네 명이 의기투합해 꾸민 다채로운 음악을 중심으로 무용, 연희 등 색다른 국악의 맛을 느낄 수 있다.
경기시나위오케스트라 제공
●국악 바탕이지만 넘버별 개성 뚜렷

무대 위에 거대한 장치는 없지만 원색의 강렬한 조명이 멋을 낸다. 그 안을 가득 채우는 것은 소리와 음악이다. 연출과 작곡을 맡은 원일 경기시나위오케스트라 예술감독을 비롯해 네 명의 작곡가가 힘을 모았다. 천재 발레리노 니진스키의 삶을 그린 뮤지컬 ‘니진스키’의 성찬경 작곡가, 창극과 경극의 만남으로 화제를 모았던 창극 ‘패왕별희’의 손다혜 작곡가, 국악과 재즈를 오가며 활발하게 활동 중인 한웅원 음악감독 등 다양한 장르의 전문가들이 곡을 쓰고 다듬었다. 국악을 바탕으로 극을 움직이면서도 넘버별로 다채로운 개성도 뚜렷한 음악이 만들어진 이유다.

원 감독은 지난 19일 온라인으로 진행된 프레스콜에서 “작곡가 네 명의 스타일과 다양성을 녹였다”면서 “지금은 특정 국가나 장르의 음악을 듣기 어려운 시대가 아니고 플랫폼을 통해 어떤 음악이든 즉각적으로 들을 수 있는 만큼 요즘 관객의 다양성에 맞춘 뮤지컬을 제작할 때라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손 작곡가도 “한 명의 작곡가가 썼다는 통일감을 유지하되 장단이나 궁중음악을 활용할 때 특색을 살리는 데 중점을 뒀다”고 했다.
이미지 확대
경기아트센터 대극장에서 공연 중인 뮤지컬 ‘금악’에서는 작곡가 네 명이 의기투합해 꾸민 다채로운 음악을 중심으로 무용, 연희 등 색다른 국악의 맛을 느낄 수 있다. 경기시나위오케스트라 제공
경기아트센터 대극장에서 공연 중인 뮤지컬 ‘금악’에서는 작곡가 네 명이 의기투합해 꾸민 다채로운 음악을 중심으로 무용, 연희 등 색다른 국악의 맛을 느낄 수 있다.
경기시나위오케스트라 제공
●추다혜·윤진웅·남경주 등 배우도 다양

뮤지컬과 연극, 국악, 민요, 무용 등 장르별로 활약하는 아티스트들이 무대에 올라 색색의 음악을 더욱 빛낸다. 천재 악공 성율 역에 뮤지컬 배우 유주혜, 고은영, 효명세자 이영 역에 조풍래와 황건하가 섬세한 연기를 펼치고, 신비로운 존재인 갈 역에는 추다혜차지스의 소리꾼 추다혜와 뮤지컬 배우 윤진웅이 더블 캐스팅돼 각각의 색다른 카리스마를 선보인다. 국내 뮤지컬을 이끈 남경주와 경기도극단 배우 한범희, 젊은 소리꾼 조수황 등 다재다능한 출연진으로 구성했다. 앙상블 30명과 32인조 오케스트라도 음악을 한껏 풍성하게 하고 국악기와 타악기, 연희 악공까지 국악의 흥을 제대로 느낄 수 있는 요소들도 무대를 꽉 채운다.

●원일 감독 “상상 이상의 경험 되길”

원 감독은 “극적인 전개와 무대 양식이 관객들에게 다가갈 때 소리와 음악, 공간에 대한 다양한 상상력이 만들어지면 좋겠다”면서 “각자 자신의 소리가 무엇인지 다양한 방식으로 생각해 보는 재미있는 경험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2021-08-26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