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식 레볼루션 예술감독 포펜
서울 여름 음악축제 실내악 위주 변경베토벤 ‘영웅’ 꼭 들려주고 싶었는데…
오늘 피아니스트 김태형 바이올린 소나타
30일 조은화 베토벤 오마주 첼로 협주곡
올해의 아쉬움은 내년 무대에서 달랠 것

롯데문화재단 제공
크리스토프 포펜 독일 뮌헨국립음대 교수·지휘자.
롯데문화재단 제공
롯데문화재단 제공
독일 뮌헨국립음대 교수인 지휘자 크리스토프 포펜은 올해 처음 시작된 여름 음악 축제 ‘클래식 레볼루션’의 예술감독을 맡아 한국에 왔다. “한국 문화에 관심이 많고, 이 일이 매우 가치 있는 일이라 생각했다”며 2주간 자가격리도 감수했다. 그런데 지난 17일 축제가 막을 열자마자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격상 방침이 정해졌다.
오직 베토벤만을 주제로 열흘을 채우려고 계획했지만 서울시립교향악단을 비롯해 6개 교향악단이 잇따라 불참을 통보해 교향악 대신 실내악 위주로 프로그램을 변경했다.
최근 서울 잠실 롯데콘서트홀에서 만난 포펜 감독은 “관객들이 베토벤의 모든 작품들을 첫 음부터 마지막 음까지 즐길 수 있도록 구상했는데 아쉽다”면서 “9번의 교향곡 전곡을 순서대로 들려주려고 했고 특히 이 가운데 교향곡 3번 ‘영웅’으로 긍정적이고 절망을 극복하자는 메시지를 꼭 전달하고 싶었다”고 했다. KBS교향악단과 리허설까지 마쳤지만 결국 19일 연주를 하지 못했다.
그래도 포펜 감독은 “음악은 계속돼야 한다”면서 축제를 취소하지 않았다. 오히려 “베토벤의 후기 실내악은 전기·중기보다 훨씬 강한 에너지를 준다”며 실내악 공연으로라도 채울 수 있게 돼 다행이라고 했다. “베토벤의 후기 실내악에는 자신에게 특히 힘든 시기인데도 삶에 대한 긍정적인 접근을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그는 바이올리니스트 클라라 주미 강, 실내악단 ‘노부스 콰르텟’ 등의 스승으로도 알려져 있고 대전시향, 통영 페스티벌 오케스트라 등에서 지휘한 경험이 있는 등 한국과 인연이 깊다.
25일엔 바이올린을 잡고 “개인적으로 젊은 피아니스트 중 가장 섬세한 피아니스트”라고 생각한다는 김태형과 바이올린 소나타를 연주할 예정이다.
포펜 감독은 인터뷰 중 거듭 “이럴 때일수록 음악과 함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청력을 잃은 베토벤이 극심한 우울과 절망에 빠졌어도 끝내 음악의 힘으로 극복했듯이 이 시기를 이겨 내야 한다는 것이다.
축제의 마지막 날인 30일에는 조은화 독일 한스아이슬러음대 교수가 쓴 베토벤에 대한 오마주 곡인 첼로 협주곡 ‘때로는 자유롭게 때로는 추구하며’가 서울튜티체임버오케스트라의 연주로 초연된다.
포펜 감독은 “베토벤의 음악을 동시대와 연결한다는 의미가 있는 이 곡을 전 세계 초연으로 선보이게 돼 기쁘다”고 말했다.
포펜 감독은 내년 ‘클래식 레볼루션’에선 피아졸라와 브람스를 주제로 관객들과 만나 올해의 아쉬움을 달랠 예정이다.
허백윤 기자 baikyoon@seoul.co.kr
2020-08-25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