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왜 이렇게 불안하지? 심리를 영화적으로 뜯어 보는 ‘픽션들’

왜 이렇게 불안하지? 심리를 영화적으로 뜯어 보는 ‘픽션들’

임병선 기자
입력 2022-11-23 10:56
업데이트 2022-11-23 10: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제작 4년 만에 24일 상업 개봉하는 ‘픽션들’의 한 장면. 윤수(김권후)와 주희(구자은)는 치매 환자를 간병하는 이들의 모임에서 만나 애틋한 감정의 선을 넘나든다. 경필름 제공
제작 4년 만에 24일 상업 개봉하는 ‘픽션들’의 한 장면. 윤수(김권후)와 주희(구자은)는 치매 환자를 간병하는 이들의 모임에서 만나 애틋한 감정의 선을 넘나든다.
경필름 제공
불안이란 심리 현상을 영화적으로 탐구한 ‘픽션들’(장세경)이 제작된 지 4년 만에 24일 상업 개봉한다. 영화에도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 감독의 작품 ‘불안은 영혼을 장식한다’(1974)의 장면들이 비친다.

참 희한하다. 영화 중반에 윤수(김권후)가 신문사에 전화를 걸어 신춘문예에 투고한 작품이 잘 접수됐는지 묻는 장면이 나온다. 이 영화를 글로 접했더라면 작가 지망생의 습작처럼 읽힐 것 같은데 영화적으로는 잘 빚은 작품이란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지난 18일 시사회에서 봤는데 워낙 단조롭게 두 사람의 대화 장면으로 이어진 영화고, ‘움직임’이 없는 영화여서 ‘뭔가 벌어져야 하는데’ 하면서 조마조마하며 보게 됐다. 그런데 영화관을 나선 뒤 닷새 내내 여운을 되새김질하게 만드는 그런 작품이었다.

단편 ‘누구세요?’(2008)를 연출한 장세경 감독의 첫 장편인데 각자 몫의 불안을 안고 살아가는 윤수와 은경(이태경), 치원(박종환)과 주희(구자은)가 얽히고 설키며 시종 대화로만 이어지는 독특한 형식의 드라마다. 간혹 화면에 나타나지 않는 어머니가 목소리로만 윤수와 대화하거나, 윤수가 치매 간병인 모임에 참여하는 모습이 나오긴 하지만 대부분은 갑갑할 만큼 대화 장면으로만 줄거리가 이어진다. 빠듯한 제작비 탓이겠지만 한 카페의 다른 장소에서 촬영한 것처럼 비슷비슷한 장면들이 보인다.

장세경 감독은 “개인적으로 불안감을 느낄 때, 불안을 우리와 같이 사는 하나의 존재라고 생각하니 그 불안의 강도가 줄어드는 역설적인 느낌을 받은 적이 있다. 그래서 과연 불안이 무엇일까 하는 질문을 던져보고 싶었다”고 각본을 쓴 의도를 털어놓았다. 그는 “일상생활을 하다 떠오르는 단편적인 생각과 이미지를 메모해왔던 것으로 시작해 파편 같은 단상들을 조합해나가면서 시나리오를 완성했다”고 덧붙였다.

김권후는 “처음 시나리오를 읽고는 복잡하다고 느꼈는데 계속 읽다보니 누구에게나 있는 평범한 삶의 이야기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고, 이태경은 “ 주인공 네 사람이 마치 한 사람처럼 느껴지기도 하고 모두 나 같았다. 시나리오가 무척 긴 편이었는데 빨리 읽히더라”고 돌아봤다. 이어 “불안을 오랫동안 속에 담아두고 산 사람의 무표정은 어떤 모습일지 생각했다. 우리 생각보다 훨씬 더 사회에 잘 스며드는 얼굴이 아닐까 생각했다”고 덧붙였다.

장의지도사로 은경을 좋아하는 설정으로 그려진 치원 역을 연기한 박종환은 “불안에 대한 이야기를 소소하고도 재미있게 풀어내 흥미로웠다. 마치 끝말잇기를 하듯 이어진 시나리오가 흥미로웠다”면서 “불안이라는 게 몸과 마음을 지치게 만들기도 하지만 동시에 살아있다는 것을 느끼게 해주기도 하는 것 같다. 내가 원래 가지고 있던 불안을 더하지도 덜지도 않고 표현하려고 했다”고 설명했다.

경성대를 졸업한 장세경 감독은 무척 센 사투리로 “누구나 좋아할 만한 영화는 아닐지 모른다. 하지만 인간과 세계를 다른 각도로 보고 싶은 분들에게 권한다”며 “배급 지원작으로 선정돼 4년 만에 ‘묵히지 않고’ 개봉하게 돼 그것만으로도 기분 좋다”고 말했다. 배우들 역시 같은 뿌듯함을 털어놓았다.

문학 습작 같은 흠결에도 전체적으로 촘촘하게 얘기를 풀어가는 기법과 리듬감 있는 편집, 빠듯한 제작비를 영악한 아이디어로 돌파하는 점 등이 좋았다. 사람들이 대화할 때 상대를 어떻게 보는지, 시선들을 탐구하는 듯한 시퀀스들이 인상적이었다.

무엇보다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이 “백만명이 내 영화를 본다면 백만 개의 시선으로 봐줬으면 좋겠다”고 말한 것처럼 다양한 빛깔과 무게로 불안을 떠안고 사는 이들이 이 작품을 보고 이런저런 생각과 대화를 마중물처럼 끌어올릴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

뱀의 발로, 사적 취향을 드러내자면 영화 마무리에 글렌 굴드의 피아노 음악을 배경으로 깐 점이 반갑고 마음에 들었다.
임병선 선임기자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