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팝으로 달아오른 태국의 여름 밤

케이팝으로 달아오른 태국의 여름 밤

유대근 기자
입력 2016-07-08 22:36
수정 2016-07-08 22: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 - 방콕 자매결연 10주년 기념

씨스타 등 공연… 1만 2000명 운집
朴시장, 현지 관광업계 의견 듣기도


이미지 확대
박원순(왼쪽 두 번째) 서울시장이 7일(현지시간) 태국 방콕 임팩트 아레나에서 개최한 서울위크 케이팝 공연장을 찾아 수쿰판 버리팟 방콕시장과 악수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박원순(왼쪽 두 번째) 서울시장이 7일(현지시간) 태국 방콕 임팩트 아레나에서 개최한 서울위크 케이팝 공연장을 찾아 수쿰판 버리팟 방콕시장과 악수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동남아의 심장부 태국 방콕이 케이팝 열기로 후끈 달아올랐다.

서울시는 7일 저녁(현지시간) 방콕의 ‘임팩트 아레나’ 공연장에서 케이팝 공연을 열었다. 이번 행사는 서울과 방콕의 자매결연 10주년을 기념하는 ‘서울 위크’ 프로그램 중 하나로 동남아 순방 중인 박원순 서울시장과 수쿰판 버리팟 방콕시장이 참석했다.

콘서트장 주변은 태국 내 한류 열기를 입증하듯 공연 시작 몇 시간 전부터 현지 소녀팬들로 북적였다. 표를 못 구한 한류 팬들은 발을 구르며 아쉬워하기도 했다. 시 관계자는 “방콕 시내 부스에서 티켓을 나눠줬는데 5분 만에 동났다”면서 뜨거운 반응을 소개했다.

공연은 관객 1만 2000여명이 운집한 가운데 ‘시즌 5’, ‘캉솜’ 등 현지 인기 가수의 무대와 함께 시작됐다. 이어 케이팝을 대표해 방콕을 찾은 걸그룹 ‘씨스타’와 그룹 ‘몬스타엑스’, ‘DJ 소다’ 등이 무대를 뒤흔들었다. 방콕 현지 팬들은 평소 유튜브 등으로만 봤던 케이팝 스타가 눈앞에서 격정적인 춤과 노래를 선보이자 야광봉을 흔들며 즐거워했다. 씨스타의 효린은 “태국 팬 여러분을 너무 보고 싶었다. 오랜만에 보게 돼 기쁘다”면서 “즐거운 추억을 만들고 돌아가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날 공연은 ‘비짓서울’과 ‘아이서울유’ 페이스북, 유튜브, 아프리카TV 등에 생중계됐다. 시는 이후 공연 현장을 촬영한 영상과 메이킹 영상을 유튜브 등에 공개해 케이팝과 서울의 매력을 계속 알릴 예정이다.

박 시장은 이 행사에 앞서 ‘저니 랜드’, ‘디스커버리 코리아’ 등 현지 주요 여행사 11곳을 포함한 관광업계 관계자를 만나 서울 관광 활성화를 위한 의견을 들었다. 한국을 찾는 태국 관광객은 한류 열풍으로 2011년 30만 9000여명에서 2014년 46만 6000여명으로 늘었다. 지난해는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여파로 37만 1000여명으로 잠시 주춤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2016-07-09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