멈추면 비로소 보이는 깊이

멈추면 비로소 보이는 깊이

함혜리 기자
입력 2016-07-03 17:30
업데이트 2016-07-03 23: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종영미술관 ‘오늘의 작가’전- 조각가 나점수 ‘표면의 깊이’

1분에 1바퀴 도는 모터 끝에 달린 석탄
멈춰서서 보니 검은 흔적 움직임 보여


이미지 확대
작품 ´표면의 깊이´.
작품 ´표면의 깊이´.
조각가 나점수(47)는 서른 즈음에 혼자 여행을 떠났다. 마치 순례자와 같이 최소한의 옷과 신발만을 챙겨 그가 간 곳은 중국 서쪽 위구르 자치구 투루판의 자오허고성 유적지였다. 그 후 그는 두 번 중국을 횡단했고, 아프리카도 다녀왔다. 인간적인 가치에 관심을 두는 삶보다 돈의 가치에 종속된 삶을 강요하고 있는 이 시대에 문명의 시원(始原)을 찾아 나섰던 그 여행은 예술의 길에 대해, 즉 작가로서 실존에 대한 성찰로 이어졌다.

나점수 조각가
나점수 조각가
서울 평창동에 자리한 김종영미술관의 ‘오늘의 작가’전에서 그는 ‘표면의 깊이’라는 제목으로 예술에 대한 자신의 성찰을 풀어놓는다. 그는 이번 전시에서 나무와 흙, 짚푸라기 같은 원초적인 재료로 만들어진 작품 30여점을 선보인다. 전시장에서 만난 작가는 전시 제목에 대해 “표면의 깊이란 부조리한 명제 같지만 표면은 깊이를 가진 것만이 가지고 있는 것”이라며 “특별히 의식하지 않으면 그 존재를 인식하기 어렵다. 멈춰 서 들여다보는 시간 그 자체에도 깊이가 있다”고 덧붙인다.

재료의 선택과 작품의 유추 체계는 모두 여행을 통해 경험한 것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는 “사막에서 눈에 들어온 잡풀과 돌을 보면서 거대한 얘기를 하기 위해선 사소하지만 나 자신에게 정서적으로 개입했던 물건들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말했다. ‘사소한 것을 보지 못하면 거대한 것을 볼 수 없다’는 생각으로 그는 아주 미세한 움직임과 디테일에 집중한다. 그래서 그의 작품들은 찬찬히 들여다봐야 의도를 얼핏이나마 알아챌 수 있다.

작품들은 건조하고 난해하게 보이지만 물질의 상태나 위치의 미세한 움직임은 모두 생의 경이에 대한 은유라고 할 수 있다. 나무를 주재료로, 수만 번의 끌질로 만들어낸 거칠거칠한 표면을 지닌 나뭇조각, 흙을 말려 만든 입방체 구조물, 톱밥과 판자 등이 말없이 서 있거나 뉘어져 있다. 정지된 듯하지만 멈춰 서서 들여다보면 미세한 움직임이 감지된다. 1분에 한 바퀴가 돌아가도록 만들어진 저속 모터의 끝에는 석탄 덩어리가 달려 있고 아주 천천히 검은 흔적을 남긴다. 멈춰 서서 보고 있어야 비로소 전시제목처럼 표면에 숨겨진 깊이가 눈에 들어온다.

작가는 “보이는 것에만 익숙하기 때문에 관객 상당수는 서둘러 보고 나가니 이 석탄이 움직인다는 사실을 알아차리지 못하지만 이를 알아차린 관객들은 정지된 줄 알았던 물체의 움직임을 통해 시간의 의미를 다시 생각하게 된다”고 말했다.

‘큰 움직임은 정지해 있는 것처럼 보이고, 큰 소리는 들리지 않는 것 같고, 큰 모습은 형상이 없는 것처럼 드러나고 감추어지는 사이에 침묵과 같은 시간이 흐른다. 깨어 있는 정신으로 세계에 대응하는 것을 예도(藝道)라 한다.’(작가 노트 중)

그는 “예술이란 붙들 수 없는 것을 붙드는 것이며, 예술 자체가 하나의 상태에 머물러 있는 것”이라고 난해한 정의를 내리면서 “그다음은 관객이 읽어내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김종영미술관은 고(故) 김종영 선생의 뜻을 기리고자 2004년부터 매년 장래가 촉망되는 작가를 ‘오늘의 작가’로 선정하고 전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박춘호 학예실장은 “시장미술이 주도하고 있는 작금의 미술계 문제점을 성찰하며 예술의 길이 무엇인지 모색하는 나점수 작가를 올해의 작가로 선정했다”며 “그는 작업을 통해 누구를 교화하거나 계도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절실한 문제에 몰입하고 있다”고 평했다. 전시는 오는 24일까지. (02)3217-6484.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6-07-04 2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