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토스·밀라디의 애절한 사랑… 눈물샘 터지네

아토스·밀라디의 애절한 사랑… 눈물샘 터지네

김승훈 기자
입력 2016-06-07 17:38
수정 2016-06-07 17: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뮤지컬 ‘삼총사’ 26일까지 공연

뮤지컬 ‘삼총사’는 정의로 똘똘 뭉친 남자들의 이야기로 흔히 인식되고 있다. 실제 내용도 17세기 파리를 배경으로 왕실 총사가 되기를 꿈꾸는 시골 청년 다르타냥과 궁정 총사 아토스·아라미스·포르토스, 이 네 사람의 모험과 우정이 중심이다. 하지만 작품 속으로 한 꺼풀 들어가면 청춘 남녀의 사랑이 한 축을 이루고 있다. 다르타냥과 콘스탄스, 아토스와 밀라디의 사랑이 바로 그것이다.

이미지 확대
밀라디 역의 윤공주. 쇼홀릭 제공
밀라디 역의 윤공주. 쇼홀릭 제공


이미지 확대
아토스 역의 박은석. 쇼홀릭 제공
아토스 역의 박은석. 쇼홀릭 제공
오는 26일까지 서울 구로구 디큐브아트센터에서 열리는 이번 공연에선 첫눈에 사랑에 빠진 다르타냥과 콘스탄스의 순수하고 풋풋한 모습과 달리 궁정 총사대를 이끌며 왕을 보좌하는 아토스와 왕을 시해하려는 밀라디의 가슴 아픈 사랑이 관객들을 사로잡고 있다. 진심으로 사랑했던 한 남자에게 버림받고 복수를 다짐하는 밀라디 역의 윤공주와 죄책감을 안은 채 살아가는 아토스 역의 박은석이 펼치는 애절한 열연이 관객들의 눈물샘을 자극하고 있다. 반역죄 누명을 쓴 밀라디의 아버지는 밀라디의 연인 아토스의 충심으로 왕에게 끌려가 억울한 죽음을 당한다. 밀라디는 복수를 위해 당대 최고 권력가 리슐리외 추기경의 심복이 돼 모두가 인정하는 악녀가 된다.

아토스와 밀라디에 대해 박은석은 “잘 다듬어진 다이아몬드 같은 커플”이라고 했고, 윤공주는 “다르타냥과 콘스탄스보다 더 성숙하고 깊은 사랑을 하는 커플”이라고 소개했다. “아토스는 밀라디가 자신 때문에 악녀가 될 수밖에 없었다고 생각한 것 같아요. 서로 사랑이 식었거나 싫어서 헤어진 게 아니기 때문에 여전히 밀라디를 사랑하죠. 아토스에게 밀라디는 운명 같은 존재였던 것 같아요.”(박은석)

“태어날 때부터 악한 사람은 없다고 생각해요. 밀라디는 그렇게 될 수밖에 없었던 과거가 있잖아요. 밀라디에게 아토스는 자신의 전부였기에 그에게 받은 상처가 컸을 듯해요. 그 아픔을 어떻게 치유하느냐에 따라 악녀가 될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을 것 같아요. 저 같으면 상처가 아물어 흉터가 될 때까지 많이 아파했을 거예요.”(윤공주)

박은석은 운명적인 사랑을 언급했지만 자신이 아토스와 같은 상황에 놓인다고 해도 아토스처럼 행동했을 것 같다고 했다. “에사르 후작의 결백을 밝혀내야 할 아토스가 왕의 명령을 어긴다면 더욱 최악의 상황이 될 테니까요.”

극 중 밀라디가 감옥에서 아토스에게 또 한번 버림받고 자신이 처한 가혹한 운명에 절규하는 모습이 명장면으로 꼽힌다. 이 장면에서 밀라디가 자신이 어떤 삶을 살아왔는지, 왜 악녀가 될 수밖에 없었는지 들려주는 노래 ‘버림받은 나’는 절절함을 더한다.

“그동안 힘든 일들을 견뎌 온 과정과 운명을 극복하겠다는 의지를 보여 주는 노래예요. 노래 자체에 밀라디의 모든 것이 담겨 있어 뭔가를 억지로 보여 주려 하지 않고 동정받아야 할 인물로 보이기 위해 애쓰지도 않아요. 그냥 노래에 푹 빠져 불러요.”(윤공주)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밀라디 역의 윤공주.

아토스 역의 박은석.

쇼홀릭 제공
2016-06-08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