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아버지 위로한 굿 한판

모든 아버지 위로한 굿 한판

김승훈 기자
입력 2016-03-27 17:38
수정 2016-03-27 17: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차범석 추모극 ‘아버지와 나와 홍매와’

신시컴퍼니가 사실주의 연극의 대가 고 차범석(1924~2006) 선생 10주기를 맞아 추모 공연을 마련했다. 2012년 제6회 차범석 희곡상을 받은 연극 ‘아버지와 나와 홍매와’다.

간암 말기의 아버지를 지켜보는 한 가족의 이야기를 다룬 작품이다. 아버지의 죽음을 앞둔 한 가족의 일상을 담담하게 묘사하며 아버지와 얽힌 가족 구성원들의 기억들을 한 꺼풀씩 풀어낸다. 2013년 초연 당시 전회 매진 기록을 세우며 호평을 받았고, 이듬해 앙코르 공연도 객석 점유율 84%로 흥행했다.

배우 신구와 손숙, 연극계 두 거장이 초연에 이어 이번에도 의기투합했다. 신구는 간암 말기의 아버지 역을, 손숙은 가족을 위해 한평생 희생하는 어머니 역을 맡았다. 두 배우와 초연부터 함께해 온 배우 정승길과 서은경도 아들과 며느리 역으로 출연한다.

작가 겸 연출가 김광탁의 희곡으로, 그의 자전적 이야기가 뼈대를 이루고 있다. 작가는 간암 말기의 아버지가 간경화까지 겹쳐 의식이 나빠지는 ‘간성혼수’ 상태에 빠져 굿을 해 달라고 말했던 게 충격으로 남아 작품화하게 됐다고 했다. 김광탁은 “거창한 이야기가 아니다”면서 “아파도 아프다고 말하지 않고, 그리움이 덕지덕지 붙은 곳이 있어도 가고 싶다고 말하지 않는 우리 시대의 아버지들을 위한 위로 굿 한판이 되기를 바랄 뿐”이라고 말했다.

드라마 ‘토지’, ‘연개소문’ 등에서 인간애를 섬세하게 보여준 이종한이 연출을 맡았다. 그는 “디테일의 힘이 얼마나 중요한지 확인시켜 주는 연극”이라며 “삶과 죽음의 경계, 기억과 망각의 경계, 과거와 현재의 경계는 무엇인지 질문을 던지며 끊임없이 촉각을 곤두세우게 할 것”이라고 했다. 4월 9~24일, 서울 중구 국립극장 달오름극장, 4만~5만원. 1544-1555.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6-03-28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