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전 세계서 협업 제안 쏟아져… 한류 4.0 시대 왔다”

“전 세계서 협업 제안 쏟아져… 한류 4.0 시대 왔다”

이은주 기자
이은주 기자
입력 2021-12-19 17:22
업데이트 2021-12-20 02: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길화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장

이미지 확대
정길화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장은 “한류가 일방주의나 상업주의로 흐르지 않도록 대안을 제시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제공
정길화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장은 “한류가 일방주의나 상업주의로 흐르지 않도록 대안을 제시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제공
 “방탄소년단(BTS)을 필두로 ‘기생충’, ‘오징어게임’ 등 지금은 한류 역사를 통틀어 한국 콘텐츠가 가장 큰 영향력을 떨치고 있는 시기입니다. 한류 3.0시대를 지나 K콘텐츠의 새로운 시기로 접어들고 있는 거죠.”

 최근 전 세계 K콘텐츠 열풍을 가장 가까이에서 체감하는 사람 중 한 명이 바로 정길화(62)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장이다. 19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정 원장은 한국에 있는 해외 대사관 직원이나 주재원들을 통해 각종 협업 제안이 쏟아지고 있다고 귀띔했다.

 “과거에는 한국에 대한 추상적인 관심 정도였다면 이제는 콘텐츠 관련 협업은 물론 행사 참가 등 구체적인 제안들이 많이 들어옵니다. 일시적인 한류 열풍에서 벗어나 문화 강국이 되고 있다는 것을 실감하고 있습니다.”

 정 원장은 지난달 ‘2021 월드케이팝콘서트’(한국문화축제)를 열며 지속가능한 한류 열풍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고 말한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열린 첫 대면 한류 행사였는데, ‘위드 코로나’ 분위기를 타고 관객 3000여명이 현장에 몰렸고 유튜브 채널 실시간 라이브로 전 세계 15만여명이 콘서트를 지켜봤다. 2019년 BTS의 영국 웸블리 공연 라이브 방송의 동시 시청자가 14만명이었음을 감안할 때 공공기관 단일 채널 차원으로는 상당히 주목할 만한 수치다.

 “이번 축제 슬로건이 팬과 스타가 함께 즐기는 ‘팬니버스’였는데 온·오프라인 쌍방향 소통이 특히 돋보였습니다. 현장에선 관객들이 함성이나 떼창 대신 비닐 장갑을 낀 손으로 박수를 치거나 응원을 했는데, 반짝이는 손들이 영화의 한 장면처럼 장관을 이뤘지요. 그 순간이 제게는 매우 감동적으로 다가왔습니다.”

 이날 콘서트는 NCT 드림, 에스파, 있지(ITZY), 펜타곤, 브레이브걸스 등 케이팝 가수들을 필두로 국악과 한국 전통 퓨전 공연, 한글과 한복 등 우리나라 유무형 문화와 케이팝을 결합해 재해석한 공연으로 꾸몄다. 특히 팬데믹 기간 중 데뷔한 에스파의 경우는 실제 팬들과 만나는 첫 무대였다.

 “철저한 방역을 최우선으로 두고 진행했고, 무엇보다 아티스트와 국내외 팬들의 만족도가 높아 팬데믹 시대 문화예술 공연의 새 방향성을 제시했다고 봅니다. 이번 성공을 계기로 팬데믹이 진정되면 한국문화축제를 케이팝과 드라마, 웹툰 등과 패션, 뷰티, 관광 등을 연계해 한류를 대표하는 축제로 만들 생각입니다.”

 2003년 아시아문화산업교류재단으로 출범한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은 2018년 ‘문화로 한국과 세계를 잇는 네트워크 허브‘를 만든다는 목표로 명칭을 변경했고,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국제문화교류 전담기관으로 지정받았다. 정 원장은 “한류가 일방주의나 상업주의로 흐르지 않도록 대안을 제시하는 것도 진흥원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현재 한류가 일방적으로 흐르지 않도록 국가 간 교류 환경을 조성하고, 민간과 지역의 다양한 교류 사업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번 한국문화축제도 글로벌 문화 교류의 대표적인 예가 되겠지요. 앞으로도 진화하는 한류 속에서 한국 문화로 세계를 잇는 가교 역할을 하려고 합니다.”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2021-12-20 2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