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자연유산, 문화재와 대등하게 다뤄야”

“자연유산, 문화재와 대등하게 다뤄야”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1-05-30 17:34
업데이트 2021-05-31 02: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문화재 행정 60년 미래전략 토론회

이미지 확대
지난 27일 서울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문화재 행정 60년 미래전략 토론회’에서 도종환(왼쪽 다섯 번째)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장과 김현모(여섯 번째) 문화재청장, 서동철(열 번째) 서울신문 논설위원 등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문화재청 제공
지난 27일 서울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문화재 행정 60년 미래전략 토론회’에서 도종환(왼쪽 다섯 번째)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장과 김현모(여섯 번째) 문화재청장, 서동철(열 번째) 서울신문 논설위원 등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는 문화의 자산(Cultural Property), 즉 인간의 손으로 만들어진 문화적인 산물을 의미하는 용어여서 문화재의 한 축인 자연물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모순이 있다. 자연유산을 문화유산과 대등한 차원으로 다루기 위해선 문화재청 명칭을 국가유산청으로 개편하고, 나아가 국가유산처나 국가유산부로 승격시키는 획기적인 조처가 이뤄져야 한다.”

이인규 서울대 명예교수(전 문화재위원회 위원장)는 지난 27일 서울 국립고궁박물관 강당에서 열린 문화재청 주최 ‘제1회 문화재 행정 60년 미래전략 토론회’ 기조 강연에서 이렇게 주장했다. 그는 “2008년 숭례문 화재 때 전문가들이 문화재 분류 체계에 대한 논의를 거듭해 문화재를 국가유산이라는 용어로 재정리하기로 의견을 모았는데 아직도 실행되지 못하고 있어 안타깝다”고 덧붙였다.

문화재청은 1999년 출범했지만 문화재 행정은 1961년 문화재관리국 설립을 기점으로 올해로 60년을 맞았다. 그동안 문화재 1만 4500건이 지정·등록됐고, 해외 문화재 1만여건이 환수되는 등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뤘다. 문화재 예산도 지난해 1조원을 넘었다. 하지만 코로나19 사태를 비롯해 기후 위기, 디지털 혁명, 인구 감소 같은 급변하는 환경은 문화재 행정에도 새로운 역할을 요구하고 있다. 이번 토론회는 지금까지 문화재 정책의 성과와 한계를 짚어 보고, 미래 사회 변화에 대비한 중장기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최현선 명지대 교수는 ‘문화재와 사회적 가치’ 주제 발표에서 “문화재 보존, 문화유산 세계화, 문화재 활용 등 문화재청이 제시한 성과들이 국민의 시각에서 어떤 사회적 가치를 창출했는지 구체적인 분석이 있어야 한다”면서 “문화재와 관련한 정책은 투명성과 참여가 있어야 하고, 공동체성과 공익성이 발현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조두원 국제성곽군사유산학술위원회 사무총장은 ‘문화유산 보존 원칙 검토’ 주제 발표를 통해 국내 문화유산 보존 원칙의 방향성과 적용 방안 등을 제시했다.

문화재의 영역을 넓히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미래지향적인 조직이 문화재청에 신설돼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서동철 서울신문 논설위원은 종합 토론에서 “근대문화유산 등록 제도가 있지만 앞으로 20세기, 21세기 문화재는 과연 무엇일까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면서 “보존과 활용 이외에 가치를 다루는 부서, 일테면 ‘문화가치증진국’을 만들어 사회적 가치를 높이고, 국민에게 다가가는 조직이 될 때 외부에서 먼저 위상 승격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화재청은 9월까지 매달 한 차례씩 자연유산, 디지털 문화유산 전환, 다문화사회 대응 등을 주제로 총 5회의 토론회를 진행한다. 이를 토대로 10월 중 ‘문화재 행정 60년 미래전략’(가칭)을 발표할 계획이다. 김현모 문화재청장은 “문화재가 사회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고, 다양한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기제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순녀 선임기자 coral@seoul.co.kr
2021-05-31 23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