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목곽묘 유물’ APEC 맞춰 공개
가장 오래된 서라벌 금동관 출토경주 무덤 밑 상당수 발굴 가능성
시종으로 추정되는 순장 인골도
국가유산청 제공
최근 발굴된 경주 황남동 1호 목곽묘의 내부 모습. 흰색 사람(그림)이 누워 있는 주변이 주곽(주황색 선)이고, 그 아래 방이 순장자가 있는 부곽(노란색 선)이다. 주곽에서는 치아, 금동관, 금귀걸이, 철제 대도 등이 발굴됐으며 부곽에서는 말과 사람의 갑옷이 발견됐다. 무덤 주인공은 30대 신라 초기 최상위 신분의 장수(오른쪽 상상도), 비스듬히 놓인 순장자는 그를 가까이서 보좌한 시종(왼쪽)으로 추정된다.
국가유산청 제공
국가유산청 제공
신라 장수의 것으로 추정되는 4세기 후반~5세기 초 무덤에서 역대 신라 왕경(서라벌) 발굴품 가운데 가장 오래된 금동관이 출토됐다. 해당 무덤이 5세기 후반 무덤 바로 밑에서 발견됐다는 점에 비춰 학계는 현재 발굴된 경주 무덤 아래 이런 형태의 무덤이 상당수 있을 것으로 보고 주목하고 있다.
국가유산청은 경주 신라 왕경 핵심유적 복원정비사업 중 하나인 황남동 120호분 적석목곽분(돌무지덧널무덤) 밑에서 적석목곽분 이전 시기에 먼저 조성됐던 1600년 전 목곽묘(덧널무덤)를 새롭게 확인했다고 20일 밝혔다. 적석목곽분은 나무로 짠 곽 주변에 돌을 쌓고 봉분을 조성한 신라 특유의 무덤이며, 덧널무덤은 나무로 관을 넣어 두는 널방을 만든 무덤이다.
‘경주 황남동 1호 목곽묘’로 이름 붙은 무덤 안에서 사람과 말의 갑옷과 투구 일체, 금동관 일부, 무덤 주인으로 추정되는 남성 장수 인골과 순장된 시종 추정 인골 등 165점의 유물이 발굴됐다. 이번에 발굴된 무덤은 신라의 무덤 양식이 목곽묘에서 적석목곽분으로 변화하는 전환기적 요소를 보여 주는 과도기적 양상을 띠고 있다. 현장 자문을 맡은 심현철 계명대 사학과 교수는 “적석목곽분 밑에 앞선 시기의 목곽묘가 있는 전모를 보여 준 첫 번째 사례”라며 “지금 경주의 묘들은 5세기 후반~6세기 전반의 적석목곽분인데 그 하부에 또 다른 형태의 무덤이 잔뜩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기존 목곽묘 자리에 100년도 채 지나지 않아 적석목곽분을 또 만든 이유와 두 무덤의 관계는 앞으로 학계가 확인해야 할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목곽묘는 주곽(主槨)과 부곽(副槨)으로 구성돼 있다. 주곽에서는 무덤 주인공의 치아가 확인됐다. 치아 마모 상태를 토대로 국가유산청은 30세 전후로 추정했다. 오른쪽 상체 부근에서는 철제 큰 칼이 발견됐으며 머리 위쪽에서는 금동관 일부가 출토됐다. 무덤 주인공이 신라의 장수로 추정되는 대목이다.
부곽에선 각종 부장품과 함께 시종으로 추정되는 순장 인골 1구가 확인됐다. 순장 인골은 팔을 벌린 상태였으며 다리는 ‘오’(O)자 형태로 벌어진 채 발견됐다. 성별은 알 수 없지만 160~165㎝ 신장으로 추정됐다.
김헌석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 학예연구사는 “대부분의 순장은 사지를 똑바로 펴서 매장하는 신전장(伸展葬) 형태지만 이번 순장자는 순장 공간에 비해 키가 커 부자연스러운 자세로 무덤에 넣은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목숨을 끊은 뒤 매장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부곽에서는 사람과 말의 갑옷과 투구 일체도 출토됐다. 말이 착용하는 갑옷인 마갑(馬甲)은 경주 쪽샘지구 C10호분에 이어 신라 고분에서는 두 번째로 발견됐다. 중장기병의 실체와 함께 5세기 전후 신라의 강력한 군사력과 지배층의 위상을 보여 주는 자료다.
유산청은 이번에 발굴한 유물 전체와 발굴 현장을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기간을 맞아 일반에 공개한다. 황남동 1호 목곽묘 발굴 조사 현장은 APEC 기간을 포함해 오는 27일부터 다음달 1일까지 공개되며, 주요 출토 유물은 같은 기간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 신라월성연구센터(숭문대)에 전시된다.
2025-10-21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