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부티크 호텔에서 숙박하며 성수동 쇼핑과 카페 체험하기, 뷰티 시술을 받고 드라마 ‘눈물의 여왕’ 촬영지 둘러보기 등 변화하는 중국 단체관광객(유커)의 취향을 겨냥한 관광상품을 지원한다고 문화체육관광부가 25일 밝혔다.
이미지 확대
과거서울 중구 롯데백화점 면세점 화장품 코너가 중국 노동절 및 일본골든위크를 맞아 한국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유커) 및 일본관광객들로 북적이던 모습. 서울신문 DB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과거서울 중구 롯데백화점 면세점 화장품 코너가 중국 노동절 및 일본골든위크를 맞아 한국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유커) 및 일본관광객들로 북적이던 모습. 서울신문 DB
올해 중국인 방한객 수는 상반기에 이미 지난해 수치를 넘어서, 이달 중 300만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인 관광객 수는 방한 시장 1위를 지키고 있다. 크루즈를 포함한 단체관광객의 비중도 지난해 하반기 8.6%에서 올해 상반기 25.0%로 상승세인 만큼, 방한 시장을 주도하는 중국단체관광 시장의 고부가화는 주요 과제로 손꼽히고 있다. 지난해 외래관광객 조사에 따르면 중국인 방한객은 국제교통비를 포함해 평균 308만 9000원(2324.3달러)을 지출했고, 주요 참여 활동은 식도락 관광(72.3%), 쇼핑(69.2%) 등이었다.
문체부는 한국여행업협회와 함께 중국 단체관광객 유치 전담여행사를 대상으로 지난달 우수여행상품 공모전을 열어 최종 12개 회사의 16개 상품을 선정했다. 16개 상품은 K-컬처 부문 5개, 레저·스포츠 부문 3개, 안보·평화 부문 2개, 치유·휴양(웰니스) 부문 3개, 지역특화 부문 3개다.
선정된 상품은 마케팅비, 홍보, 중국 현지 박람회 참가 등을 지원한다.
문체부는 또 지난해 8월 중국의 단체 방한 관광이 6년 반 만에 재개된 후 중국 방한 시장의 질적 성장을 위해 지난 5월 저가 관광으로 적발된 여행사에 영업정지처분을 내리고 여행업 공정 질서 저해 행위에 대한 유형을 세분화한 바 있다.
윤수경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