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병국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위원장이 지난 10일 서울 종로구 예술가의 집에서 음악·전통예술 분야 종사자들에게 직접 내린 커피를 대접하며 담소를 나누고 있다.
오는 23일까지 총 14회에 걸쳐 진행하는 현장 업무보고는 예술가들에게 직접적으로 필요한 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그의 의지가 담겨 있다. 정 위원장은 “과거 의정활동이나 장관을 할 때도 보면 현장에서 정책 고객들의 말씀대로 하는 게 답이더라”면서 “직원들이 나름대로 탁상에서 열심히 하지만 현장감이 없으면 괴리가 발생하니 대국민 업무보고도 진행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병국 위원장이 음악·전통예술 분야 현장 업무보고에서 관련 정책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정 위원장은 업무보고가 모두 끝나도 특정 요일을 정해 2~3시간은 예술가의 집 2층 라운지에서 예술가들을 만나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2층 라운지는 그가 국회의원 시절 예술가들이 모이는 커뮤니티 공간을 위해 제안해 장소다. 이곳에서 정 위원장은 직접 내린 커피를 대접하며 정책 당사자의 생생한 현장 의견을 들을 예정이다.
지난 10일 열린 현장 업무보고에서 강기성 서울바로크싱어즈 대표가 질문하고 있다.
올해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창립 50주년을 맞는 만큼 정 위원장은 향후 50년을 위한 조직의 새로운 비전과 역할론도 제시했다. 경제발전 수준에 비해 기초예술 분야에 대한 지원이 부족한 만큼 이 부분을 보완해 문화 선진국으로 가는 디딤돌을 놓겠다는 계획이다.
정병국 위원장이 음악·전통예술 분야 종사자들과 대화하며 웃고 있다.
정 위원장은 “우리 문화산업이 세계적으로 각광받는 이유는 순수 기초예술들이 기반이 됐기에 가능했다”면서 “지난 50년은 우리가 내실을 다졌다고 한다면 이제는 기후변화 등 시대가 요구하는 여러 가지 어젠다를 주도하고 선도할 때가 됐다. 문화 선진국의 면모를 가지는 역할들을 해야겠다고 하는 게 제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