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 바닷물만큼이나 짠 눈물 쏟으며 찍었을 것이란 생각이 들었다. 너무 일찍 떠나버린 딸을 잠시라도 다시 세상과 이어주고 싶어 마련했다는 사진 전시회. 바닷속 뭇 생명들의 모습에서 딸의 얼굴을 떠올리며 셔터를 누르는 일이 결코 쉽지만은 않았을 터다.
이미지 확대
부화 직전의 알들에 산소를 불어넣고 있는 문어. 새끼들이 부화하고 나면 문어는 힘이 다해 숨이 끊어지거나 천적에게 잡아 먹힐 것이다. 류가헌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부화 직전의 알들에 산소를 불어넣고 있는 문어. 새끼들이 부화하고 나면 문어는 힘이 다해 숨이 끊어지거나 천적에게 잡아 먹힐 것이다. 류가헌 제공.
김호웅 사진전 ‘고맙다 안나야’전이 서울 종로구 청운동 ‘사진위주 류가헌 갤러리’에서 22일 열렸다. 김호웅은 수중사진가다. 30년 넘게 바닷속을 유영하며 뭇 생명들을 촬영했다. 1991년 문화일보 창간 때 사진기자직에 투신해 지금까지도 현장 기자로 활동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고맙다 안나야’ 전 포스터. 작가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고맙다 안나야’ 전 포스터. 작가 제공.
이번 사진전에선 그가 2년여간 촬영한 제주도 문섬의 수중 사진과 2018년 불의의 사고로 세상을 뜬 큰딸 안나의 그림이 함께 선을 보인다. 전시회 부제목도 추모의 뜻을 담아 ‘아빠와 딸이 다시 나누는 사랑이야기’로 정했다. 달력, 사진 등 전시 판매수익금은 교통사고로 부모를 잃은 소녀가장들에게 전액 기부할 예정이다.
이미지 확대
전시장 내부 모습. 류가헌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전시장 내부 모습. 류가헌 제공.
1관에는 안나의 그림 20점이, 2관에는 김호웅의 사진 50여 점이 걸렸다. 제주 서귀포의 작은 섬 문섬 아래에서 살아가는 생명들을 ‘아빠의 눈’으로 포착한 사진들이다. 대부분 산란 중이거나, 알에서 갓 깨어났거나, 혹은 새끼들을 돌보는 어미 물고기들의 모습이 담겼다. 김호웅은 “알을 지키고 보살피는 바닷속 생물들의 자태는 부모와 자식 사이의 관계를 다시 생각하게 만들었다”며 “한 컷 한 컷 딸을 생각하며 촬영했다”고 소회를 전했다. 전시는 새달 4일까지 계속된다. 류가헌 누리집(www.류가헌.com) 참조.
손원천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