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토 히로부미 글씨 새긴 한국은행 머릿돌, 안내문 세워 보존키로

이토 히로부미 글씨 새긴 한국은행 머릿돌, 안내문 세워 보존키로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21-05-26 18:03
업데이트 2021-05-26 18: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문화재위원회 결정…“안내판 문안·크기는 추후 논의”

이미지 확대
한국은행 본관(사적 제280호) 정초석(머릿돌)의 ‘定礎(정초)’ 글씨가 이토 히로부미가 쓴 것으로 확인됐다. 문화재청은 서체 관련 전문가 3명으로 자문단을 꾸려 지난 20일 현지 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22일 한국은행 본관 머릿돌. 2020.10.22  연합뉴스
한국은행 본관(사적 제280호) 정초석(머릿돌)의 ‘定礎(정초)’ 글씨가 이토 히로부미가 쓴 것으로 확인됐다. 문화재청은 서체 관련 전문가 3명으로 자문단을 꾸려 지난 20일 현지 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22일 한국은행 본관 머릿돌. 2020.10.22
연합뉴스
한반도 식민지화에 앞장섰다가 안중근 의사의 총탄에 처단당한 초대 조선통감 이토 히로부미의 ‘정초(定礎)’ 글씨를 새긴 한국은행 본관 머릿돌이 안내문과 함께 보존된다.

26일 문화재청에 따르면 문화재위원회 근대분과는 최근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서울 한국은행 본관’ 정초석(머릿돌) 관리 방안을 심의해 머릿돌을 그대로 두고 머릿돌에 관한 설명문을 담은 안내판을 설치하기로 했다.

한국은행은 앞서 머릿돌 관리 방안으로 머릿돌 보존과 안내판 설치, 머릿돌을 석재로 덮어씌우는 복개, 머릿돌 철거 후 독립기념관 이전 등 세 가지를 제시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머릿돌 보존은 결정됐지만, 안내판 문안과 크기는 별도로 소위원회를 꾸려 논의하기로 했다”며 “안내판은 머릿돌 주변 화단에 설치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한국은행의 본관 머릿돌 글씨(위)와 일본 하마마츠시 시립 중앙도서관 누리집에 있는 이토 히로부미 붓글씨.
한국은행의 본관 머릿돌 글씨(위)와 일본 하마마츠시 시립 중앙도서관 누리집에 있는 이토 히로부미 붓글씨.
문화재청이 지난해 12월 만 18세 이상 국민 1000 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에서는 머릿돌을 역사적 기록으로 보존하고 안내판을 설치해야 한다는 응답자가 52.7%였고, 이토 히로부미의 흔적을 지워야 한다고 답한 사람은 47.3%였다.

예전부터 오랫동안 논쟁의 대상으로 거론됐던 한국은행 머릿돌은 지난해 10월 12일 국회 국정감사에서 이토 히로부미 글씨가 새겨졌다는 내용의 사료가 제시되는 등 그 연원에 대한 명확한 근거가 나오면서 본격적으로 처리 방안이 논의됐다.

이에 문화재청은 서체 관련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 조사를 통해 같은 달 21일 머릿돌 글씨가 이토 친필이라고 발표했다.

일제의 조선 경제 침탈 보여주는 역사적 흔적
과거 한국은행 본관으로 쓰였던 서울 중구 화폐박물관. 화폐박물관 뒤로 1987년 건립된 신관이 보인다.  연합뉴스
과거 한국은행 본관으로 쓰였던 서울 중구 화폐박물관. 화폐박물관 뒤로 1987년 건립된 신관이 보인다.
연합뉴스
한국은행 머릿돌의 ‘정초’ 글씨를 이토가 쓴 것이라는 주장은 예전부터 전해졌고 2016년에도 문제가 제기되다가 한 사료가 발견되면서 근거가 명확해졌다.

당시 제시된 간행물은 조선은행(한국은행 전신)이 1918년 발간한 영문잡지 ‘조선과 만주의 경제 개요’(Economic outlines of Chosen and Manchuria)로, 현재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학(UC 버클리) 도서관이 소장 중인 이 책 6쪽에 ‘이 건물의 정초석은 이토 공작의 친필로 만들어졌다’는 설명이 담겨 있다.

구한말 조선에 진출해 대한제국의 중앙은행 역할을 맡았던 일본 제일은행 경성지점은 을사조약 이후 관련 업무를 대한제국의 ‘구(舊) 한국은행’으로 이관했고, 한일 강제병합 이후 구 한국은행이 ‘조선은행’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이것이 해방 후 1950년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한국은행의 전신이다.

한국은행 본관 건물은 1907년에 착공해 1909년 정초 후 1912년 조선은행 본점으로 준공된 건축물이다.

일제는 일본 제일은행 경성지점→구 한국은행→조선은행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이들 은행을 통해 한반도에 대한 경제 침탈을 자행했다.

광복 후인 1950년 대한민국의 한국은행이 설립된 뒤에도 이 건물은 본관 건물로 계속 쓰이게 됐다. 이후 1987년 신관이 건립되면서 현재는 화폐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