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식문화 부족해 비빔밥으로 흥분하는 한국인”…中조롱 [이슈픽]

“식문화 부족해 비빔밥으로 흥분하는 한국인”…中조롱 [이슈픽]

김채현 기자
김채현 기자
입력 2021-03-18 17:38
업데이트 2021-03-18 17: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송중기 드라마 PPL 논란에 조롱글

중국산 비빔밥 논란은 지난 14일 방송된 ‘빈센조’에서 남자주인공 빈센조(송중기)가 즉석 비빔밥을 건네받는 장면이 전파를 타면서 시작됐다. tvN 드라마 빈센조 방송화면 캡처
중국산 비빔밥 논란은 지난 14일 방송된 ‘빈센조’에서 남자주인공 빈센조(송중기)가 즉석 비빔밥을 건네받는 장면이 전파를 타면서 시작됐다. tvN 드라마 빈센조 방송화면 캡처
tvN 주말드라마 ‘빈센조’에 등장한 ‘중국산 비빔밥’을 두고 과도한 중국 PPL(제품간접광고)이란 비판이 제기되는 가운데, 중국 네티즌들이 식문화 폄하까지 나서 논란이다.

18일 화제 된 내용에 따르면 최근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웨이보 공식 계정을 통해 ‘빈센조’ 드라마에서 주인공 송중기가 중국산 비빔밥을 먹는 장면을 올리고 “주인공이 중국의 ‘자열식 비빔밥’을 먹은 것에 한국 네티즌이 폭발했다”고 전했다.

중국 네티즌은 비빔밥 폄하에 나서고 있다. SNS와 기사 댓글을 통해 “비빔밥은 남은 음식을 처리하는 방법”, “한국에 먹을 것이 별로 없어서 남은 재료를 모아 넣다가 비빔밥이 나온 것”, “한국인은 식문화가 부족해서 비빔밥으로 흥분” 등 반응을 보였다.

중국산 비빔밥 논란은 지난 14일 방송된 ‘빈센조’에서 남자주인공 빈센조(송중기)가 즉석 비빔밥을 건네받는 장면이 전파를 타면서 시작됐다. 3초 남짓 짧은 영상이었지만 해당 브랜드는 중국 브랜드고, 특히 한국 전통 음식인 비빔밥이라는 점에서 화를 키웠다.

또 해당 제품에는 중국어로 ‘한국식 파오차이(중국식 절임채소)’라고 표기된 점을 두고 ‘중국의 입장을 반영한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tvN 드라마 빈센조 방송화면 캡처
tvN 드라마 빈센조 방송화면 캡처
서경덕 “요즘 시기엔 안타깝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드라마 ‘빈센조’의 중국산 비빔밥 PPL 논란에 대해 “안타깝다”고 말했다.

서 교수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드라마 빈센조에서 중국산 비빔밥이 PPL로 등장했음을 알게 됐다며 “드라마 제작비 충당을 위해 선택한 상황이겠지만 요즘 같은 시기엔 정말로 안타까운 결정”이라고 했다.

이어 “최근 중국은 김치, 한복, 판소리 등을 ‘자국의 문화’라고 어이없는 주장을 계속해서 펼치고 있다”며 “이번 PPL은 한국을 타켓팅한 것이라기보다는 한국 드라마의 전 세계 영향력을 통해 수많은 나라에 제품 홍보를 노린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고 말했다.
서경덕 교수가 SNS에 올린 사진. tvN 드라마 빈센조 방송화면
서경덕 교수가 SNS에 올린 사진. tvN 드라마 빈센조 방송화면
“중국 자본 없으면 드라마 제작이 불가능한 나라”
중국의 한국 콘텐츠에 대한 영향력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업계는 늘어난 제작비 충당을 위해 중국 PPL은 외면하기도 여려운 실정이라고 말한다. 미니시리즈 기준 회당 평균 제작비는 6억원 수준까지 올랐다. 2010년대 초반 2억원에 비해 3배가량 늘어난 것이다.

‘빈센조’에 앞서 tvN 드라마 ‘여신강림’에서는 극중 여고생이 중국 유명 즉석식품 브랜드 ‘즈하이궈’의 인스턴트 훠궈를 먹는 장면이 나왔다. 또 버스정류장 배경에 중국의 전자상거래 기업 ‘징둥’의 로고가 간접광고 되기도 했다.

한국 드라마영화로 퍼지고 있는 ‘차이나 머니’에 대한 조롱도 이어지고 있다.

차이나머니 PPL을 두고 중국 네티즌은 “중국 자본이 없으면 드라마 제작이 불가능한 나라”, “중국 영향력 무시하지 말길”, “한국 드라마는 중국 영향력에 지배”, “그냥 중국에서 제작하자”등 조롱도 이어졌다.

김채현 기자 ch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