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로가 이용자들의 톱100 차트 재생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차트 이용자의 80%는 10곡 내외만 감상해 대부분의 이용자들이 소수의 곡을 반복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플로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플로가 이용자들의 톱100 차트 재생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차트 이용자의 80%는 10곡 내외만 감상해 대부분의 이용자들이 소수의 곡을 반복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플로 제공
SK텔레콤의 음악 플랫폼 플로가 이용자 취향에 맞는 개인화 음악 순위 ‘편애차트’를 선보인다고 21일 밝혔다.
편애차트는 해당 이용자의 재생 이력·선호도를 반영한 취향 기반의 상위 100곡 순위표로 5월 초 처음 선보인다.
플로 측은 “기존 톱100 차트 이용자 절반은 상위 3곡, 80%는 10곡 내외만 감상해 대부분의 이용자가 소수의 곡을 반복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부정한 방식으로 한번 차트 상위 순위에 음악을 올리면 전체 재생 기능을 통해 재소비 되는 승자 독식 구조가 형성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플로에 따르면 이용자들은 자신의 취향에 맞지 않는 일부 곡을 플레이리스트에서 삭제하거나 감상 중간에 넘기는 등 톱100을 취향에 맞게 수정, 편집하는 경향도 보였다.
지난달 폐지한 1시간 단위 실시간 순위도 긍정적 효과를 내고 있다고 플로는 설명했다. 순위 변동성이 감소하고 차트 전체 재생이 약 7% 늘었다는 것이다.
이기영 드림어스컴퍼니 대표는 “현재 음원 시장의 여러 가지 논란에 일차적으로 대응하기보다 장기적으로 시장을 어떻게 키울 것인가에 초점을 두고 있다”며 “차트를 선호하는 소비자의 취향도 존중하면서 그 안에서 세밀한 취향을 발견하게 해 음악 감상의 총량을 늘려가겠다”고 밝혔다.
김지예 기자 jiye@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