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원 제주 축산진흥원장
“제주 흑돼지는 제주의 역사와 문화를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습니다. 순수 혈통의 제주 흑돼지는 국내외 통틀어 제주에만 있습니다. 세계 유일 종이기도 하고 문화적으로도, 민속적으로도 의미가 큽니다.”
김경원 제주 축산진흥원장
그는 내륙 흑돼지는 제주 흑돼지가 뿌리라고도 했다. “강원도의 한 축산연구소에서 흑돼지를 연구용으로 쓰고 싶다고 해서 흑돼지 몇 마리를 제공했습니다. 근데 순종 번식이 아니라 외래종과 교배 실험을 했습니다. 그곳에서 생산된 개량 흑돼지가 강원도를 비롯해 내륙 지역으로 퍼졌습니다.” 진흥원은 남북교류협력사업의 일환으로 북한에 흑돼지를 보내기도 했다. 진흥원은 흑돼지를 번식한 뒤 1987년부터 최근까지 6600마리를 일반 농가에 분양했다. 지난해 3월 천연기념물 지정 이후에도 404마리를 농가에 마리당 10만원을 받고 분양했다. “천연기념물 지정 개체수인 260마리를 초과하면 현 돈사의 규모를 고려해 일부 흑돼지는 농가로 내보냅니다. 농가에선 외래종과 교잡해 개량 흑돼지를 만드는 데 씁니다. 문화재 보호구역인 진흥원을 벗어나면 문화재 지정이 자동 해제돼 먹어도 됩니다.”
김 원장은 요즘 흑돼지 돈사를 천연기념물 격에 맞게 새로 짓는 데 주력하고 있다. 좁은 공간에 일률적으로 붙들어 매어 놓는 현재의 고정식 돈사에서 개방형·방목형 돈사로 신축하고 있다. “다 큰 돼지도 한 마리씩 칸칸이 매어 놓는 게 아니라 넓은 공간에서 무리 지어 활동하고 먹을 수 있도록 지으려고 합니다. 올 연말 새 돈사가 준공되면 흑돼지 개체수도 늘리려고 합니다.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항상 500~600마리는 사육하고 있어야 합니다.”
제주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6-03-29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