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너무 뜨겁거나, 혹은 차갑거나

너무 뜨겁거나, 혹은 차갑거나

입력 2013-01-09 00:00
업데이트 2013-01-09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조선시대 사람의 삶과 풍류’ 展

사진 없던 시절의 풍속을 지금에 와서 짐작해볼 수 있는 수단은 그림 뿐이다. 그래서 이 그림들은 그림이라기보다는 시대를 증언하는 스틸 컷에 가깝다. 그런데 우린 여의치 않다. 낮은 생산력으로 인해 그림 도구나 재료가 마땅치 않았다. 거기다 그림을 대하는 시각도 남달랐다. 책 만권을 읽어 몸에 차고 넘쳐 흘러야 그림이 된다 했을 정도니 일상의 풍속을 그린 삿된 그림 따위가 환영받을 리 없다. 그 빈자리를 채워넣은 게 지금도 칭송받는 단원 김홍도와 혜원 신윤복의 풍속화다.

이미지 확대
혜원 신윤복이 그린 것으로 전해지는 ‘건곤일회첩’ 중 일부.
혜원 신윤복이 그린 것으로 전해지는 ‘건곤일회첩’ 중 일부.


이미지 확대
기산 김준근의 ‘시집가고’
기산 김준근의 ‘시집가고’


심전 안중식의 ‘평생도’ 중 과거시험 장면.
심전 안중식의 ‘평생도’ 중 과거시험 장면.
2월 24일까지 서울 사간동 갤러리현대에서 열리는 ‘옛 사람의 삶과 풍류 - 조선시대 풍속화와 춘화’는 바로 이 ‘스틸 컷’에 대한 얘기다. 그러니까 단원과 혜원 이후 조선인의 삶을 가감 없이 있는 그대로 찍어낸 그림에는 어떤 것들이 있느냐다. 공재 윤두서, 관아재 조영석, 긍재 김득신 등 기존에 널리 알려진 작가들의 그림도 있지만, 이번 전시작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심전 안중식과 기산 김준근, 그리고 춘화다.

장승업의 제자 가운데 한 명이었다는 심전의 작품으로는 10폭 병풍 ‘평생도’가 나와있다. 평생도는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양반이 누릴 수 있는 이상적인 삶을 8폭의 병풍에다 그려넣은 작품이다. 심전의 이번 작품은 돌잔치에서 과거, 급제, 관찰사, 정승 취임 등 모두 10폭으로 늘려놓은데다 “신축년에 석초 대인을 위해 그린다”는 문구가 명확해 제작연대가 1901년으로 명확하다는 점이 도드라진다.

기산의 작품은 사진 이전 기록 매체로서의 그림의 성격이 가장 잘 드러난다. 구한말 흑백사진들 한번쯤 보지 않았던가. 각 직업군 대표 선수가 자신의 직업을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도구를 들고 서 있는, 그래서 자연스러운 사진이라기보다 우표 그림 같고 문화인류학 보고서에 첨부되어 있을 것 같은 사진들 말이다.

기산의 작품이 그렇다. 기산은 조선말 개항지 원산에서 활동하면서 기념품을 사가려는 외국인들에게 그림을 대규모로 공급한 인물로 추정된다. 이 덕에 독일 베를린박물관, 미국 스미스소니언박물관 등 해외 박물관에 가장 많이 소장된 작가가 기산이고, 지금도 1600여점이라는 많은 양의 작품이 전해지는 것도 기산이다. 도상과 인물이 반복적인 부분이 있어 아마 그림 제작 공장을 차려놓고 대량 생산하지 않았겠는가 추정된다. ‘아희등 놀고’, ‘훈쟝 글 갈으치고’ 같은 표제어 아래 지금의 우리가 옛 우리 모습을 상상할 때 가장 표준적인 장면이 그림으로 묘사되어 있다.

본관 2층에 전시된 춘화는 모두 노골적인 성행위가 묘사되어 있는 그림들인데, 너무 적나라하게 드러나 있어서 은밀하다는 느낌보다는 ‘동물의 왕국’ 같은 야생 다큐를 보는 듯한 느낌에 더 가깝다. 지난해 리움미술관이 개최한 조선화원대전에서는 그림 앞에 나무 창살을 덧대 묘한 상상력을 자극하는 방식으로 전시됐다면, 이번에는 대놓고 조명을 직접적으로 비춰놔서 이런 느낌은 배가된다.

이 그림들은 단원이나 혜원의 그림으로 전(傳)한다고 알려진 것들이다. 굉장히 폐쇄적인 조선시대 상황상 저작자를 확정짓는다는 것은 상당히 어렵다. 제자나 그림을 거래하던 화상그룹에서 상품성을 높이기 위해 유명하다는 화가 이름을 가져다 썼을 가능성도 있다. 직접 그린 뒤 은밀히 유통시켰을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하지는 못한다. 유홍준 명지대 교수는 “단원은 그의 일생을 봤을 때 춘화를 그렸을까 싶은 의문이 있지만, 혜원의 경우 춘화를 그리다 도화서에서 쫓겨났다는 전언이 있을 정도니까 가능성은 어느 정도 있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5000원. (02)2287-3591.

조태성 기자 cho1904@seoul.co.kr

2013-01-09 20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