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으로 봉황·꽃·구름 등 새겨 日에 전해진 ‘칠지도’와 유사
금으로 봉황 무늬 등을 화려하게 상감(象嵌·박아넣음)한 백제시대 큰 칼 유물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확인됐다고 국립공주박물관이 14일 밝혔다. 이번에 발견된 상감기법은 백제에서 제작해 일본으로 넘어간 이소노카미 신궁(石上神宮)의 칠지도(七支刀)와 비슷한 것으로 보인다고 박물관은 덧붙였다. 이소노카미 신궁은 가장 오래된 일본의 신사로 야마토 정권(3세기말~645년)의 무기고 역할을 한 것으로 파악된다.
금상감 대도의 실물 모습.

X-선을 투과해 상감이 나타난 모습.

X-선을 투과한 금상감 대도의 세부 문양.
김승희 공주박물관 관장은 “일제강점기에 발굴된 미정리 유물을 보존처리하기 위한 X-선 투과 촬영 과정에서 (공주) 송산리 고분군 중 29호분에서 출토된 철제대도(鐵製大刀·쇠로 만든 큰 칼)에 화려한 문양을 금선(金線)으로 새긴 금상감(金象嵌)이 있음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번에 새롭게 확인한 이 금상감대도(金象嵌大刀)에서 금상감은 일부가 훼손된 칼 몸통(도신·刀身) 앞면과 뒷면 모두에서 확인됐다. 상감한 문양은 봉황(鳳凰)과 초화(草花·풀이나 꽃)·운기(雲氣·구름) 등으로, 이 도안을 칼날 전체에 새긴 것으로 추정된다고 박물관은 말했다.
현재까지 확인한 백제 상감대도는 공주 수촌리와 천안 용원리, 서산 부장리, 고창 봉덕리 등 5세기 무렵 지방 유력 세력자가 묻힌 곳으로 생각되는 무덤에서 10점 정도. 이들은 칼손잡이 부분에만 용이나 봉황, 넝쿨 등의 개별 문양을 은상감(銀象嵌)했다는 점에서 이번에 확인된 금상감대도와는 확연한 차이가 있다. 이번에 확인한 금상감대도는 이소노카미 신궁 칠지도를 제외하고 백제 상감대도 중 유일하게 칼 몸통 전·후면 모두에 금상감을 한 자료로 평가된다. 또한 봉황과 초화, 운기를 모두 조합해 연속으로 배치한 문양 또한 백제 유물에서는 처음으로 확인된 것이라고 박물관은 말했다.
김 관장은 “백제 웅진시대 왕릉 공동 묘역인 송산리 고분군 중에서도 무령왕릉과 인접한 횡혈식 석실분인 29호분에서 금상감대도가 확인됨으로써 백제 장식 대도의 소유 및 그 위계(位階)를 가늠해 볼 수 있다.”면서 “제작시기·제작기법 등에서 의문이 여전한 일본의 칠지도와 그 금상감 기법 등을 직접 비교할 수 있는 실물 자료를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덧붙였다.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
2012-08-15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