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프랑스혁명’ 한국어판 출간 사토 겐이치
“유럽 문명을 넘어서는, 민주주의 이후의 가치를 아시아인들이 열어 가려면 프랑스혁명을 반드시 이해해야 합니다.”사토 겐이치(44)는 ‘소설 프랑스혁명’(한길사 펴냄)의 1차분 4권이 한국에서 번역·출간된 것을 기념해 10일 서울 태평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사토 겐이치
사토는 “프랑스혁명은 인류에게 자유, 평등, 박애라는 근대 민주주의 가치를 제창했지만, 결코 성공한 혁명이었다고 할 수 없다.”면서 “박애를 바탕에 깔고 평등을 선택한 공산주의체제나, 자유를 선택한 서방국가나 모두 인류를 행복하게 했다고 볼 수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또한 “프랑스혁명은 끝나지 않았다. 현재 인류는 큰 문제를 겪고 있고, 민주주의 이후의 가치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내년에 완간을 목표로 하는 총 12권 분량의 ‘소설 프랑스혁명’ 중 작가는 8번째 책을 집필하고 있고, 7권은 일본에서 막 출간됐다.
대학원에서 서양사와 프랑스 문학을 전공하던 1993년 ‘재규어가 된 남자’라는 소설로 등단한 사토는 그 후 자퇴를 하고 전업 작가의 길에 들어섰다. 유럽사를 공부한 그에게 프랑스혁명은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과제였다고 한다. 일본인 작가가 프랑스혁명을 소설로 프랑스인들도 이해시킬 수 있을 만큼 잘 쓸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들지만, 작가는 이렇게 설명했다.
“프랑스인들은 프랑스혁명에 대해 굉장한 자부심을 느끼지만, 찬란한 문화와 전통을 부정했다. 혁명을 냉정하게 직시하지 못한다. 나는 아시아인이라는 약점도 있지만 그래서 객관적이고 냉철하게 볼 수 있는 강점도 있다. 일본에 있는 프랑스 친구들이 내 소설을 읽고 너무 재밌다고 한다.”
●“아시아에선 자유·평등 양립 가능”
그는 소설에서 부르주아 혁명에 철저하지 못했다고 평가받는 귀족이면서 제3신분 대표였던 오노레 미라보(1749~1791)와 공포 정치의 냉혈한으로 비난받는 로베스 피에르(1758~1794)에게 듬뿍 사랑을 주었다. 사토는 “1791년 미라보가 죽지 않았다면 프랑스도 영국처럼 입헌군주제로 가지 않았을까 상상해 본다.”면서 “‘단두대의 정치’를 편 로베스 피에르도 자유, 평등의 양립을 시도하고자 엄청나게 갈등하는 인간적 모습을 보여 주고자 한다.”고 했다. 그는 자유와 평등의 양립이 서양에서는 어렵지만 동양, 아시아에서는 구현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미 유교를 바탕으로 한 아시아적 가치에는 공동체적 삶을 추구하는 전통이 오랫동안 진행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방대한 자료 조사와 현장 답사를 통해 프랑스혁명이 일어나던 1789~1794년의 프랑스인이 되고자 했던 그는 “미래는 아시아의 시대라고 믿는다.”며 활짝 웃었다. 사토는 1999년 ‘왕비의 이혼’으로 대중 소설가에게 주어지는 일본의 나오키상(121회)을 수상했으며, 1993년 등단 이후 다작(多作)을 내고 있는 작가다.
글 사진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
2012-07-11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