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비와 희망의 땅 콩고민주공화국

신비와 희망의 땅 콩고민주공화국

입력 2012-03-27 00:00
수정 2012-03-27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EBS ‘세계테마기행’

한반도 면적의 11배에 달하는 방대한 국토, 아프리카 대륙의 가운데 자리한 심장부 콩고민주공화국은 열대우림, 천연자원으로 가득한 땅이다. 하지만, 풍요로운 대지는 재앙이 돼 끊임없는 내전과 질병, 난민들을 만들어냈고 그들에게 희망이란 손에 잡히지 않는 신기루인 것만 같아 보였다. 하지만, 지금 콩고민주공화국에서는 이러한 역사적 아픔을 이겨내고 다시 새로운 희망의 기운이 솟고 있다.

이미지 확대
아프리카의 심장부, 콩고 민주 공화국의 열대우림과 천연자원, 그 안에 사는 사람들의 삶을 소개한 EBS 세계테마기행의 한 장면.  EBS 제공
아프리카의 심장부, 콩고 민주 공화국의 열대우림과 천연자원, 그 안에 사는 사람들의 삶을 소개한 EBS 세계테마기행의 한 장면.
EBS 제공
험한 물줄기에 도사린 죽음과 강한 생명력을 동시에 품은 콩고강, 내전으로 파괴된 국토를 다시 재건하고자 하는 콩고인들의 움직임, 시내를 가득 채운 흥겨운 룸바와 재즈 리듬, 당나귀를 닮은 오카피와 마운틴고릴라 등 멸종위기 동물들의 마지막 낙원이자 활화산이 아직 활동하고 있는 신비의 땅. 태초 자연의 신비와 그 자연 속에서 아직 옛 생활방식을 고집하며 살아가는 소수민족들, 풍요로운 자연과 흥겨운 리듬으로 가득 찬 나라. EBS 세계테마기행은 29일까지 매일 밤 8시 50분에 다시 뛰는 아프리카의 심장, 콩고민주공화국을 소개한다.

길이 4370㎞, 세계에서 두 번째로 풍부한 유량, 메마른 아프리카 땅에 내린 축복과도 같은 콩고강. 아프리카 대륙의 중심부를 세차게 흘러가는 생명의 발원지이자 젖줄이지만, 거대한 물살 때문에 수많은 사람의 목숨을 앗아간 죽음의 강이기도 하다. 키상가니에는 콩고민주공화국의 수도 킨샤샤로 향하는 바지선이 오간다. 이동 시간만 한 달이 넘는 긴 여정, 콩고강을 따라가는 여정에는 삶과 죽음이 공존한다. 콩고강에는 수많은 소수부족이 살고 있는데 그중 하나가 강의 부족, 와게니아족이다. 전쟁을 피해 거센 콩고강 급류에 정착한 이 부족은 낯선 이방인에서 엄연한 콩고강의 주인이 됐다. 제작진은 위태로운 나무 기둥에 목숨을 맡긴 채 전통 낚시법을 고수하며 살아가는 그들의 삶을 통해 콩고강이 이 나라 사람들과 소수민족에게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조명해본다.

고마 북부에 있는 마시시, 그곳엔 아프리카라고는 믿기 힘들 만큼 푸른 목초 지대가 펼쳐져 있다. 이곳의 주인은 아프리카의 유대인이라고 불리는 투치족. 그들은 원래 르완다, 부룬디에 거주하는 부족이었지만 뛰어난 지능과 수완으로 콩고 동부 지역 경제권을 손에 넣었다. 푸른 마시시 초원의 소가 생산하는 치즈는 이미 콩고 전역에 팔려나가는 특산품이 됐다. 우리에게 아직 생소한 아프리카의 치즈를 만나러 마시시 목장으로 떠나본다.

김정은기자 kimje@seoul.co.kr

2012-03-27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